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어가면서 국내외적으로 1997년에 겪었던 외환위기가 다시 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가 3일(현지시간) "최소한 현재까지는 유사한 위기가 재연될 위험은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고 보도했다. 

달러 대비 원화 가치는 연초 대비 약 17% 떨어졌으며, 일본 엔화(20%), 필리핀 페소(13%),중국 위안화(11%), 태국 바트화(11%) 등 다른 아시아 통화 가치도 대폭 하락한 상태다.

이와같은 아시아 통화가치의 하락세는 1997년 발생한 외환위기를 떠올리게 한다고 NYT가 전했다.

1997년 당시 태국에서 시작된 외환위기가 한국과 인도네시아 등으로 번졌고, 국제통화기금(IMF)은 연말까지 이들 국가의 금융시스템 붕괴를 막기 위해 1천억달러 넘는 자금을 배정했다.

당시 외환위기 여파로 1998년 한국(-5.8%)을 비롯해 인도네시아(-13.7%), 태국(-9.7%) 등 아시아 각국은 혹독한 마이너스 성장을 겪어야 했다.

현재 진행중인 이와같은 아시아권역의 화폐의 가치 하락의 원인이 경제펀터멘탈 문제가 아니라 전세계적 현상이 되어버린 강달러 현상의 결과로 나타나는 통화약세현상이라는 것이다. 

유로화.엔화 등 세계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 지수는 지난 9월 말 20년 만에 최고치인 114대까지 치솟았다가 현재 111대에서 고공 행진 중이다.

아시아 각국의 경제 체력이 그때보다 강해졌으며, 1997년 외환위기 당시와 비교하면 달러화 부채가 적고 달러 대비 환율 변동성을 시장에 맡겨 환율 취약성도 덜하다는 것이다. 또 아시아 국가들이 그간 외화 순유입국으로서 외환보유고를 쌓아왔다.

다만, 급격한 환율 하락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기 위해 금융당국이 외환시장에 개입하고 있다. 일본은 20년만에 환율방어를 위해 시장에 개입했으며, 중국도 비공식적으로 약 3000억 달러의 채권을 매각하면서 외환시장에 개입하고 있다. 인도와 태국이 올해 들어 자국 통화 가치 방어를 위해 외환보유고를 10% 넘게 사용했다. 

환율의 급락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을 더 자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