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9.07 04:05 PM
대한민국의 인구가 5년 전보다 2.7% 증가하면서 5천만명 시대가 열렸다. 1985년 4천만시대에 진입한 지 30년 만이다.
그러나 지역별·연령대별 분포를 살펴보면 수도권 집중이나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문제가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 증가세를 주도하는 가운데 전남 지역은 광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생산연령인구는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경제 활력 둔화를 예고했다.
외국인인구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했지만 전체 인구구조 변화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모습이다.
통계청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5 인구주택총조사 전수부문'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주민등록부와 외국인등록부, 건축물대장 등 13개 기관 400여개 대학의 행정자료 24종을 활용한 등록센서스 방식으로 이뤄졌다.
통계청은 2010년까지는 전통적 현장조사방식을 활용했으나 2015년부터는 행정자료를 활용한 등록센서스 방식을 도입했다.
◇ 인구 연평균 0.5% 증가...5천만 시대 진입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 인구(외국인 포함)는 5천107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4천971만명) 대비 2.7%, 136만명 증가한 것으로 연평균 증가율은 0.5%였다.
우리나라 인구는 1985년(4천45만명) 4천만명 시대를 연 뒤 1990년 4천341만명, 1995년 4천461만명, 2000년 4천614만명, 2005년 4천728만명, 2010년 4천971만명에 이어 30년 만에 5천만명 시대에 진입했다.
5년 전 대비 증가율은 2010년 2.8% 보다는 낮았지만 2005년 2.5% 보다는 높았다.
2015년 기준 등록센서스 인구는 통계청의 기존 추계인구(5천68만명) 보다는 39만명(0.8%)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가 2천561만명으로 2.7%, 여자가 2천546만명으로 2.8% 늘었다.
인구밀도는 ㎢당 509명으로 2010년(497명) 보다 12명 많아졌다.
우리나라는 방글라데시(1천237명), 대만(649명)에 이어 인구 1천만명 이상 국가 중 세 번째 인구 조밀국가로 분석됐다.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전체 인구의 49.5%인 2천527만명으로 2010년(49.2%) 대비 0.3%포인트 상승했다.
수도권 인구 비율은 2000년 46.3%에서 2005년 48.2%, 2010년 49.2% 등으로 계속 상승하면서 수도권 집중 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의 유출 인구보다 인천과 경기지역의 유입인구가 더 많기 때문이다.
시도별로 보면 경기도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4명 중 1명 꼴인 24.4%(1천248만명)를 차지했고, 서울(19.4%), 부산(6.8%), 경남(6.5%) 등의 순이었다.
증가율은 제주(9.9%), 경기(7.1%), 인천(6.1%) 등이 높았고, 서울(-1.6%), 부산(-1.1%), 대구(-1.0) 등 3곳은 감소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수원시가 119만명의 인구가 밀집돼 가장 많았고, 경남 창원시(106만명), 경기 고양시(99만명) 등의 순이었다.
82개 군 중에서는 울산 울주군(22만3천명)이, 특·광역시의 69개 자치구 중에서는 서울 송파구(63만5천명)에 인구가 가장 몰려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유소년 인구 100만명 줄고 고령인구는 100만명 이상 증가
전체 인구수는 증가했지만 연령대별로보면 저출산·고령화의 지속으로 유소년 인구는 감소하고 중년 이상, 특히 고령인구만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유소년인구(0∼14세)는 691만명(13.9%)으로 2010년 788만명(16.2%) 대비 97만명(2.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657만명(13.2%)으로 2010년 536만명(11%) 대비 121만명(2.2%포인트) 늘어났다.
이에 따라 유소년인구에 대한 고령인구의 비율인 노령화지수는 2010년 68.0에서 2015년 95.1로 급상승했다.
우리경제의 근간인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천623만명(72.9%)으로 2010년 3천551만명(72.8%) 대비 72만명이 늘었지만 전체 인구가 늘어났기 때문에 비중은 0.1%포인트 증가에 그쳤다.
전체적으로 45세 이상 인구는 2010년 대비 연령대별로 모두 늘어났지만 45세 이하 인구는 20∼24세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이에 따라 생산연령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을 뜻하는 노년부양비는 2010년 15.1에서 2015년 18.1로 상승했다.
◇ 중위연령 40대로 상승·전남 첫 초고령사회 진입
우리나라의 중위연령은 41.2세로 2010년(38.2세) 대비 3.0세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40대에 진입했다.
중위연령은 모든 인구를 줄 세웠을 때 제일 가운데 선 사람의 나이를 뜻한다.
이는 일본(46.5세), 독일(46.5세), 영국(43.4세) 보다는 낮지만 프랑스(41.1세)와 미국(37.8세) 등 보다 높고 중국(36.8세), 인도(27.3세)와는 큰 격차를 보였다.
동단위의 중위연령은 40.2세, 읍단위는 41.4세였지만 면단위는 52.5세로 이미 50대에 진입했다.
우리나라 모든 시도의 고령인구 비율이 7%가 넘어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전남(21.1%)은 광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가 넘는 초고령사회에 도달했다.
전북(17.9%), 경북(17.8%), 강원(16.9%), 충남(16.3%) 등도 이미 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14% 이상)를 넘어 초고령사회 진입이 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시군구는 전남 고흥군(38.5%), 경북 의성군(38.2%), 경북 군위군(37.5%) 등이었고 7% 미만인 시군구는 울산 북구(6.4%), 대전 유성구(6.9%) 등으로 집계됐다.
◇ 성씨 5천582개...金·李·朴·崔·鄭 순
우리나라 전체 성씨는 5천582개로 1천명 이상인 성씨는 153개였다. 해당인구는 내국인(4천971만명)의 대부분(99.8%)인 4천958만명이었다.
상위 10대 성씨는 김, 이, 박, 최, 정, 강, 조, 윤, 장, 임 순이었고 이들 10대 성씨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64.1%에서 2015년 63.9%로 0.2%포인트 감소했다.
김씨가 1천69만명(21.5%)으로 가장 많고, 이씨 731만명(14.7%), 박씨 419만명(8.4%) 등이 '빅3'를 유지했다.
우리나라 성씨본관은 3만6천744개, 1천명 이상인 성씨본관은 858개로 전체 인구의 97.8%인 4천861만명이 해당했다.
상위 10대 성씨본관이 차지하는 비율은 35.7%로 김해 김씨 446만명(9%), 밀양 박씨 310만명(6.2%), 전주 이씨 263만명(5.3%) 등의 순이었다.
◇ 혼자 아이 키우는 미혼모(부) 3만5천명
혼인상태가 법적으로 미혼이고 18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미혼모는 2만4천명, 미혼부는 1만1천명으로 집계됐다.
미혼모를 연령별로 보면 35∼39세가 19.4%로 가장 많았고 미혼부는 40∼44세가 22.6%였다.
미혼모와 미혼부의 자녀수는 모두 4만2천명이었다.
미혼모가 거주하는 지역은 경기(22%), 서울(18.4%), 부산(7.2%) 등의 순이었고 미혼부는 경기(22.8%), 서울(15.2%), 인천(6.8%) 등의 순으로 높았다.
◇ 외국인 100만명 시대...10명 증 6명 수도권 거주
국내 거주 외국인은 2010년 96만명에서 2015년 136만명으로 41.6% 증가하면서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었다.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7%였다.
10명 중 6명 꼴인 62.9%(86만명)가 수도권에 거주했는데 2010년 64.3%(62만명)와 비교하면 1.4%포인트 내려갔다.
시도별로는 경기도에 3분의 1인 45만명(33.2%)이 살았고, 서울 34만명(24.7%), 경남 9만명(6.6%) 등으로 집계됐다.
국적별로는 중국계(한국계 중국인, 중국, 대만 포함) 외국인이 절반이 넘는 51.6%(70만명)를 차지했는데 한국계 중국인이 50만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28.1%(38만3천명)로 가장 많았다
2000년과 비교하면 미얀마가 4천명에서 1만8천명으로 322.8%, 캄보디아가 1만1천명에서 4만1천명으로 272.2%, 네팔이 9천명에서 2만9천명으로 203.8%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