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성규 기자] = 정부가 은퇴자들의 안정적인 노후 소득 보장을 위해 ‘퇴직연금 종합대책’을 마련, 이르면 이달말 발표한다.

Like Us on Facebook


17일 정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18년 14%에서 2040년에 32.3%에 달할 전망이다. 국민 3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이 되는 셈이다.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율은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2009년 기준으로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45.1%다. 이는 OECD 평균인 13%를 한참 웃도는 수준으로, 미국의 경우 24%, 일본 22%, 호주 27%다.

은퇴 이후 소득이 절실하지만 연금 가입이나 활용도는 매우 부족하다. 2011년 기준으로 베이붐세대(1955∼1963년생)의 국민·개인·퇴직연금 가입률은 27.6%다.

국민연금의 장기재정 추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기금은 2060년 고갈될 것으로 전망됐다.

은퇴 이후 안정적인 소득을 위해서는 사적연금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현재 제도로는 사적연금으로 안정적인 노후 소득을 담보할 수 없다.

우리나라 퇴직연금 가입률도 낮다. 지난해 기준으로 대기업의 가입률은 91%에 달하지만 중소·영세 사업장은 11∼15%에 불과하다. 전체 평균은 16%에 그친다.

정부의 검토안대로 퇴직연금 가입을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면 노후 안전망이 더 넓어진다. 중소기업은 물론 영세사업장의 근로자들까지 가입하게 돼 퇴직연금 사각지대가 없어진다.

또 계약형 퇴직연금에 더불어 정부가 최근 유망 서비스업 육성 방안에서 제시한 기금형을 도입하면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퇴직연금 자산을 운용할 수 있다.

기금형 제도는 퇴직연금 가입 기업이 독립적인 연금위원회를 만들고 이를 통해 다양한 외부 운용기금 중 한 곳을 선택해 운용을 맡기는 방식이다. 외부 운용기금 간 수익률 경쟁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의미다.

퇴직연금 자산 운용 규제를 합리화하면 이전보다 더 다양한 투자 상품을 적립금 운용 대상에 편입시킬 수 있어 가입자의 투자 선택권이 확대된다. 원리금보장상품이나 DB형에 편중됐던 자산 배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운용 사업자 간 경쟁을 통해 선진국처럼 연금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다.

퇴직연금을 장기 보유하게 하고 퇴직급여의 연금화를 유도하면 연금 자산은 늘어나고 은퇴자들은 연금 수령을 통해 노후 소득원을 확대할 수 있다.

김동수 한국개발연구원(KDI) 금융경제연구부장은 "사적연금 자산을 확대하고 운용을 선진화하면 은퇴 이후 노후 소득 보장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노인의 빈곤층 전락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부장은 "사적연금 활성화가 복지재정 수요와 재정 불안전성에 따른 공적연금의 부담과 한계를 완화하는 데도 큰 효과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