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순이자소득(이자소득에서 이자비용을 뺀 액수)이 지난 9년간 13조원이나 줄었다.

저금리로 인해 가계 이자소득은 부진하지만 부채증가로 인해 이자비용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 가계 이자비용 증가분, 이자소득의 2배

Like Us on Facebook


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가계의 순이자소득은 2012년 4조3천억원으로 9년전인 2003년(17조4천억원)에 비해 13조1천억원 감소했다.

이는 가계가 대출이자 등을 갚느라 쓴 이자비용이 은행 예·적금 등을 통해 얻은 이자소득보다 2배나 더 증가한 결과다.  

가계 이자소득이 2003년 37조2천억원에서 2012년 49조6천억원으로 12조4천억원 증가할 동안 이자비용은 19조8천억원에서 45조3천억원으로 25조5천억원 늘었다.  

가계의 순이자소득은 1998년 25조1천억원으로 고점을 치고 점차 낮아져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에는 7천900억원으로 급감했다. 이후 점차 늘어나고는 있지만,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가계의 이자소득이 쪼그라든 데에는 1천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와 저금리 기조가 영향을 미쳤다.

2002년 464조원이었던 가계부채는 10년 만에 964조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는 1천40조원으로 계속해서 불어나고 있다.

대체로 4∼5%대였던 저축성예금 수신금리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인 지난 7월 2.49%까지 떨어졌다. 매달 사상 최저치를 경신하는 중이다.

금리가 낮아져 이자소득이 줄어든 상황에서 이자로 나가는 돈이 많다 보면 순이자소득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 기업 이자소득 빠르게 늘어  

가계의 순이자소득이 감소하는 동안 기업의 순이자소득은 -20조3천억원에서 -9조1천억원으로 개선됐다.

유보금 적립과 부채 감축으로 기업 이자소득이 이자비용보다 더 많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기업의 이자비용은 2003년 139조7천억원에서 2012년 201조3천억원으로 61조6천억원 증가한데 비해 이자소득은 113조3천억원에서 192조2천억원으로 78조9천억원 늘었다.  

한국의 가계소득에서 순이자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3.4%에서 2012년 0.3%로 3%포인트 감소했다. 같은 기간 OECD 20개 가입국 평균은 2.3%에서 0.4%로 1.9%포인트 줄었다.

한국 기업소득에서 순이자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4.4%였다가 2012년 -0.7%로 3.7%포인트 증가했다. 한국 기업들은 이자소득보다 이자비용이 더 많아서 순이자소득이 마이너스로 나타난다. OECD 평균으로는 이 비중이 0.1%에서 0.6%로 0.4%포인트 증가했다.  

임노중 아이엠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어 저축률이 투자율보다 높은 상황이기 때문에 금리가 오를 가능성은 낮다"면서 "결국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줄여야 가계의 순이자소득 감소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