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ke Us on Facebook
하지만 한국의 GNI대비 가계소득 비중 감소 속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보다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소득 비중의 증가 속도는 OECD 국가의 4배에 달해 한국의 가계와 기업소득 격차 심화 정도가 다른 국가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전분기 대비 실질 GNI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 1.9%에서 3분기 1.0%, 4분기 1.0%, 올해 1분기 0.5%로 뒷걸음질 쳤었다. 2분기 GNI 성장률이 개선된 것은 교역조건이 좋아지고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실질 GNI란 우리 국민이 나라 안팎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의미한다.
한국 국민이 외국에서 얻은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번 소득을 뺀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전분기 2조3천억원에서 2분기 3조원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4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한국의 GNI 대비 가계소득 비중은 1995년 70.6%에서 2012년 62.3%로 8.3%포인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이 기간 OECD 국가의 GNI 대비 가계소득 비중 평균은 71.9%에서 67.7%로 4.2%포인트 줄어 한국의 절반 정도에 그쳤다.
예산정책처는 "자영업자의 소득 증가 둔화, 가계와 기업 간 순이자소득 격차 확대 등으로 한국이 OECD 국가에 비해 가계·기업 간 소득격차가 상대적으로 더 두드러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2012년 기업의 순이자소득은 9년전 -20조3천억원에서 2012년 -9조1천억원으로 개선됐다. 2분기 실질무역손실도 전분기의 4조3천억원에서 3조원으로 감소했다. 원화 강세로 수출물가가 하락했는데, 수입물가는 이보다 더 떨어져 대외거래 조건이 유리해진 것이다.
하지만 가계의 순이자소득은 2012년 4조3천억원으로 9년전인 전인 2003년에 비해 13조1천억원 감소했다.
정부는 기업소득이 가계로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하는 근로소득 증대세제, 배당소득 증대세제, 기업소득 환류세제 등 '가계소득 증대 3대 패키지'가 담긴 세법 개정안을 이번 정기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