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ke Us on Facebook
고졸 채용 확대는 학력에 따른 차별과 학벌 지상주의를 타파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정부는 공공기관 채용의 20% 이상을 고졸자로 뽑고 비중을 차차 늘려 2016년까지 40%를 채우겠다고 했다. 정부가 고졸 채용 독려에 나서면서 기업과 금융권에도 고졸 채용 붐이 일 정도였다. 고졸 채용을 얼마나 늘렸는지가 언론의 주목을 받는 뉴스가 되기도 했다. 현 정부도 고졸 채용 확대 정책을 여전히 챙기고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지난달에도 고졸자가 공무원으로 채용되거나 공공기관·공기업에 들어갈 수 있는 직무와 직렬을 확대하는 내용의 고졸취업 활성화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고졸 채용이 2년 연속 줄어드는 것에서 보이듯이 전 정부와 비교할 때 그 분위기는 확 바뀌었다. 고졸 채용에 발벗고 나섰던 주요 은행도 지난해에 채용 인원을 전년보다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의 중점이 시간제 일자리 확대 등으로 옮겨갔으니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다.'
물론 전 정부 시절의 고졸 채용 확대는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 정부의 독려에 따른 비자발적인 현상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당시에도 나왔다. 그럼에도 붐이 일 정도로 고졸 채용이 확산할 수 있었던 것은 학력이나 스펙이 아니라 실력으로 인정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바른 방향이라는 사회적 공감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대학입시에만 매달리는 비정상적인 교육열과 학력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인한 부작용도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도 있었다. 방향이 바른 것이라면 전 정부의 정책이라도 중점을 둬서 일관성 있게 이어가는 것이 맞다. 고졸 채용에 열을 올렸던 기업이 나 금융권도 마찬가지다. 한 발짝 더 나아가 고졸 취업자들이 조직에서 능력을 발휘하고 실력으로 평가받아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고졸 채용 확대가 제자리를 잡을 수 있게 정부가 의지를 갖고 꼼꼼하게 계속 챙기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