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구의 전통시장 대인시장에서 어렵고 힘든 사람들이 즐겨찾는, 그리고 오병이어의 기적을 보여준 식당 '천원 백반집'을 운영해오던 김선자 할머니가 암투병 끝에 18일 오전 73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하지만 김 할머니가 돌아가신 후에도 천원 백반집은 계속해서 운영되며 가난한 자들에게 따뜻한 한끼 밥을 전할 예정이다.

김 할머니가 대인시장에 천원 백반집을 시작한 것은 지난 2010년께로, 원래 죽 집을 차리려 했지만 젊은 시절, 어려웠던 시절 밥 한 공기에 마음이 따뜻해지던 때를 떠올리면서 없이 사는 사람, 어려운 사람, 밥 한 공기 먹는 일이 어려운 사람들과 마음을 나누고 그들을 위해 봉사하기로 마음 먹고 손해만 보는 1천원짜리 백반 식당 '해 뜨는 식당'을 운영하기 시작했다.
 
김 할머니는 이 식당을 열게 된 사연에 대해 방송을 통해 "몇 차례 사업 실패 후 보험회사 일을 하다 은퇴하고 벌인 찜질방 사업마저 투자한 돈을 사기당했다. 누구한테 쌀 없다는 말을 못해서 굶어보기도 했다"며 "빈털터리일 때 오히려 가난한 사람을 도와야겠다고 생각해 재래시장 한쪽에 천원 백반집을 어렵사리 열었다. 천원은 떳떳하라고, 부끄럽지 않으라고 내는 돈"이라고 이야기했었다.

된장국에 반찬 세 가지가 고작이었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이곳에서 내 돈으로 밥값을 내고 세상에서 가장 배부르고 따뜻한 밥을 먹을 수 있었다.

날이 갈수록 손님이 늘면서 천원 백반집에는 하루 100여명이 훌쩍 넘는 사람들로 북적거렸다. 하지만 천원으로는 쌀값을 감당하기에도 버거워 식당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오병이어의 기적처럼 매달 쌀을 기증하는 사람들이 생겼고, 연탄을 몇백 장씩 가져다주거나 김치를 담가주는 등 도움의 손길이 끊이지 않았다. 밥값으로 만원짜리 몇 장 건네며 "이것밖에 못 드려 죄송하다"는 손님도 있었다. 그는 식당을 운영하면서 부자들보다 가난한 사람들이 더 나눔에 익숙하다는 사실을 경험했다. 그리고 이러한 작은 도움들을 통해 가게는 기적처럼 계속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천원 백반집은 김 할머니가 지난 2012년께 대장암으로 쓰러지면서 문을 닫아야 했다. 잇따른 암 수술과 항암치료로 몸을 가누기 어려워진 김 할머니는 가게를 미처 정리하지 못하고 1년 동안 방치했고, 그 사이에 매달 20여만원의 월세가 빠져 나갔다.

그러나 천원 백반집은 그렇게 문을 닫고 사라지지 않았다. 김 할머니의 암투병 소식이 전해지자 주변 기업과 시장상인들, 시민들이 직접 나서 천원 백반집에서는 1년 만에 다시 따뜻한 나눔의 밥상이 차려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김 할머니는 암이 악화돼 1년 시한부 판정을 받고 힘겨운 투병생활을 해오면서 천원 백반집으로 다시 돌아오지는 못했지만, 천원 백반집의 기적을 옆에서 지켜보다 이날 영면했다.

김 할머니는 "천원 식당을 계속 이어가달라. 주변분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식당 운영을 계속 했으면 좋겠다"는 유언을 남긴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 성요한병원에 마련된 김 할머니의 장례식장에는 김 할머니의 마지막 길을 배웅하려는 시장 상인 등 주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윤장현 광주시장도 김 할머니의 별세 소식을 듣고 "천원 밥상이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따뜻하고 배부른 밥상"이라며" 비통한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 애도했다.

또 "할머니의 삶은 곧 '광주정신'의 다른 이름이다. 남은 저희들이 그 뜻을 이어받겠다"며 "단 한사람도 낙오됨이 없이 더불어 살아가는 광주 공동체 건설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