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ke Us on Facebook
공정거래위원회는 자산총액 5조원 이상인 상호출자제한 민간 기업집단(이하 '대기업집단') 47개의 지난해 계열사(1천351개)간 상품·용역 내부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21일 공개했다.
분석 결과 대기업집단 47개의 내부거래 비중은 12.46%, 금액은 181조5천억원에 달했다. 이중 총수가 있는 집단(39개)의 내부거래 비중은 12.6%, 없는 집단(8개)은 11.46%다.
특히 삼성, 현대차, SK, LG, 롯데, 현대중공업, GS, 한진, 한화, 두산 등 총수가 있는 상위 10개 집단의 내부거래 금액은 140조2천억원으로 2012년보다 3조3천억원 늘었다.
이들 집단에서는 총수일가의 지분율이 높을수록 내부거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총수일가 지분율이 20% 미만(계열사 448개)인 기업의 내부거래 비중은 13.71% 였고, 20%~30% 미만(54개)은 14.26%, 30%~50% 미만(47개)은 30.62%, 50%~100% 미만(30개)은 42.11%, 100%(15개)는 47.56% 였다.
총수2세의 지분율과 내부거래 비중도 상관관계가 뚜렷했다.
총수2세의 지분율이 20% 미만(계열사 1천153개)인 기업의 내부거래 비중은 12.42%, 20%~30% 미만(64개)은 17.52%, 30%~50% 미만(51개)은 26.53%, 50%~100% 미만(29개)은 46.7%, 100%(7개)는 54.54%다.
이에 재벌 총수 2세의 지분이 높은 비상장사 계열사에 일감을 몰아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자금 확보 수단으로 사용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