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예원 기자] = 전통시장 총매출이 최근 12년 3조원이 넘는 정부의 본격적인 지원에도 48% 급감하며 오히려 반 토막 수준으로 떨어졌다.

Like Us on Facebook


5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김한표 의원이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1년 전국 전통시장 총매출은 40조1천억원(1천438곳)에서 2013년 20조7천억원(1천502곳)으로 48% 감소했다.

연도별 총매출은 32조7천억원(2005년)→29조8천억원(2006년)→25조9천억원(2008년)→24조원(2010년)→21조1천억원(2012년)으로 해를 거듭할수록 추락했고, 전통시장 한 곳당 평균 매출도 2001년 279억원에서 2013년 138억원으로 50.5% 하락했다.

이에 반해 대형마트 총매출은 2009년 33조2천억원에서 2013년 45조1천억원으로 꾸준히 늘어나 대조를 보였다.

이 때문에 12년간 정부가 전통시장에 쏟아부은 3조5천억원이 넘는 예산이 결과적으로 대형마트 공세에 대응할만한 실효성 있는 대책마련이 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전통시장 주차장, 진입로 등 시설 현대화에는 3조802억원을 투입했지만 상인 교육 등 전통시장의 내실을 다지는 소프트웨어 혁신에는 3천822억원이 지원되는 데 그쳤다.

전통시장 전용 온누리 상품권은 2009년부터 지난달까지 1조7천360억원이 발행됐으나 회수율이 85%에 그쳐 마케팅 혁신도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김한표 의원은 “전통시장 살리기 정책의 문제점을 시급히 진단해 시장 상인들이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