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ke Us on Facebook
10일 통신·전자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의 지난 1∼7일 신규·번호이동·기기변경 가입 건수는 모두 17만8000건으로 하루 평균 새 스마트폰 판매량은 약 2만5000대로 추정된다.
지난달 판매량인 6만4000건의 40%도 안 되는 수준이다. 전반적으로 국내 스마트폰 시장이 갑작스레 침체기에 들어선 모양새다.
또 단통법 이후 삼성전자의 하루 스마트폰 판매량은 약 2만대가 줄었고, LG전자도 9000대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하루 평균 스마트폰 판매량 6만4000대의 65%인 4만2000대를 팔았으나, 이달 들어서는 전체 2만5000대의 80%인 2만대가량을 판매한 것으로 보인다.
LG전자 역시 지난달 1만3000대에서 이달 4000대로 판매량이 급감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런 가운데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은 오히려 국내 시장 점유율이 상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에는 약 65%를 기록했으나 이달 들어서 10대 중 8대꼴로 삼성전자 제품이 팔리는 실정이다. 보조금이 줄어들자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제품에 수요가 몰리는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LG전자는 지난달 20% 안팎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으나 이달 들어서는 5%가량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판매량 감소 규모로 보면 본래 시장 점유율이 높았던 삼성전자가 가장 크지만, 시장 전체 규모 자체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점유율까지 떨어진 LG전자와 팬택, 외국계 제조사들의 감소량도 상당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여기에 최근 정부와 언론 등에서 출고가를 인하해야 한다는 압박까지 더해지면서 제조사들은 진퇴양난에 처한 모양새다.
출고가를 그대로 두면 스마트폰 시장이 더욱 얼어붙을 우려가 있고, 출고가를 내리면 수익 악화가 더 심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애플과 소니, 화웨이 등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해외 제품이 공세를 펼치면 국내 제조사의 어려움도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는 최근 언론을 통해 갤럭시 노트4와 갤럭시S5의 국내외 출고가를 공개하면서 해외 판매 제품이 국내 제품보다 출고가가 낮다는 오해를 진화하는데 애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