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안화 직거래시장 등 인프라를 구축해 위안화의 안정적인 수요·공급 기반을 마련, 중국 자본시장에 대한 투자 기회도 확대한다.
Like Us on Facebook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은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지난 7월 한중 정상회담의 후속조치 차원에서 이런 내용의 위안화 거래 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현재 대(對)중국 무역액의 1.2% 수준인 위안화 무역결제 비중을 중장기적으로 20% 이상으로 늘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지금은 두 나라 간 교역의 95% 정도가 달러화로 이뤄진다. 때문에 원화 또는 위안화를 달러화로 환전한 뒤 다시 한번 환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우선 정부는 위안화로 수출대금을 결제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대한 단기수출보험의 한도를 현재보다 5∼20% 가량 우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단기수출보험은 수출대금의 결제 기간이 2년 이내인 수출계약을 체결한 뒤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수출이 불가능하거나 수출대금을 받지 못할 경우 손실을 보상해주는 상품이다.
은행이 위안화 결제 지원 기능을 확대하도록 유도하고 주요 기업들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적극 개최해 위안화 결제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낼 예정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중국 인민은행, HSBC, SC은행 등의 조사 결과 중국 기업과 거래할 때 달러화 대신 위안화로 결제하면 대금의 3∼5%를 우대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위안화 결제 비중이 확대되면 달러화를 구하기 어려워서 한국 기업과 교역하기를 꺼리는 중국 내륙지방의 기업과 거래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대중(對中) 무역 의존도가 높은 기업의 경우 원·위안화 직거래시장 개설로 환전 수수료가 절감되고 불필요한 달러화 보유로 인한 환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으로 위안화 무역결제 규모는 2012년 2조600억위안, 지난해 3조100억위안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만 2조900억위안에 이르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정부는 전자중개시스템 구축, 시장조성자 지정 등을 거쳐 12월 중 원·위안화 은행간 직거래시장을 개설할 방침이다.
시장조성자는 장중 매입·매도 가격을 제시해 가격 형성을 주도하고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정부는 다음 달 초에 10여개 은행을 시장조성자로 선정할 예정이다.
또 정부는 다음 달 6일 출범식을 갖은 청산은행(교통은행 서울지점)의 위안화 자금 청산·결제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준비자산통화(Reserve Currency)로서 위안화 국제화에 대응해 위안화 표시 외국환평형기금 채권 발행도 추진하기로 했다.
아울러 중국 자본시장에 대한 투자 기회를 확대한다.
자산운용사 뿐만 아니라 은행, 증권, 보험사 등도 RQFII(위안화 적격해외기관투자자)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 중국 국공채·회사채 등이 거래되는 중국 내 장외시장인 CIBM에 투자할 수 있도록 중국 정부와 협의를 이어나간다.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채권, 파생상품, 예금 등 위안화 표시 금융자산 규모를 홍콩, 대만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정부의 이번 대책은 지난 7월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사이에 이뤄진 위안화 활용도 제고 합의의 후속조치 차원이다.
정부는 한중 정상회담에 앞서 지난 3월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서도 원·위안 직거래시장 개설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