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성규 기자] = EU, 미국과의 FTA가 각각 2011년 7월, 2012년 3월 발효되고 이번에 중국과의 FTA가 타결되면서 세계 3대 경제권과의 FTA 체결 구상이 11년 만에 결실을 봤다.

Like Us on Facebook


이에 이후 가장 큰 관심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 한중일 FTA에 쏠리고 있다.

TPP는 중국을 경계하는 미국 주도로 세계 최대 규모의 경제블록을 만들기 위해 멕시코, 캐나다, 호주, 일본 등 12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TPP 협상은 일본의 농수산물 개방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지만 미국 중간선거에서 자유무역주의를 주장하는 공화당이 승리한데다 오바마 정부에 협상 전권을 주는 무역촉진권한(TPA)이 부활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협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TPP 협상 참여를 저울질하고 있다.

우리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 기존 참여국의 협상이 마무리되기 전에 참여를 선언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TPP에 참여하면 연간 2억∼3억 달러의 무역수지 개선과 약 1조원의 생산증대 효과가 생길 것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한중 FTA 타결은 서로 교역 의존도가 높은 한중일의 FTA 협상을 가속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일 FTA가 두 나라 외교관계 악화로 2012년 6월 3차 과장급 실무협의를 마지막으로 전혀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다자간 협정이 돌파구로 떠오르고 있다.

한중일 FTA는 2013년 3월 첫 협상을 시작한 이후 올해 9월 5차 협상까지 진행했다. 포괄적 수준의 FTA에는 공감하고 있지만 상품과 서비스, 투자 분야에서는 셈법이 달라 진전이 더디다.

박천일 국제무역연구원 통상연구실장은 "한중 FTA 타결은 거대 경제권과의 FTA 완결판이라고 볼 수 있다"며 "이제 미국의 아태 전략의 하나인 TPP, 서로 이해관계가 맞물리는 한중일 FTA로 초점이 옮겨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