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선들이 우리 바다만 휘젓는 것이 아니예요. 어망·어구도 쓸어가고 우리들 가슴까지 할퀴고 있어요."

Like Us on Facebook


20일 인천 연평도 앞바다 북방한계선(NLL) 인근에는 10여 척의 중국어선이 조업을 하고 있었다.

2∼3척씩 짝을 이룬 중국어선들은 막바지 철을 맞아 꽃게를 싹쓸이하고 있다.

일부 어선은 배와 배 사이를 오가며 고기잡이를 하고 있다. 그물을 빠져나가는 꽃게들마저 쓸어 담는 듯보였다.

5년 전부터 연평도 꽃게 어획량은 해마다 줄어드는데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은 그치질 않고 있다. 더 악랄해졌다는 게 어민들의 전언이다.

연평도 어민 강모(53)씨는 "중국에는 통발 어구가 귀하다"며 "우리 어장에 들어와 통발 어구를 훔쳐가거나 망가뜨려 놓고 간다"고 울분을 터뜨렸다.

다른 어민 박모(49)씨는 "옹진군 어업지도선 중에는 건조된 지 37년 된 것도 있다"며 "중국어선이 달아나면 못 쫓아가니 단속이 되겠느냐"고 당국을 원망했다.

백령도와 대청·소청도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이달 초부터 중국어선 500∼700여 척이 대규모 선단을 이뤄 섬 주변 어장과 서해 특정 해역에서 조업을 하고 있다.

이들 중국 어선은 우리 어민의 어구와 어망을 훔쳐가거나 훼손시키고 치어까지 싹쓸이해 피해 규모는 여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백령도 어민 이모(57)씨는 "올해처럼 중국어선들이 대규모 선단을 이뤄 우리 해역을 침범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워낙 규모가 크다 보니 해양안전본부 불법조업 단속대원들조차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단속 대원들은 오히려 사고 등을 우려해 우리 어민들을 대피시키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다른 어민 김모(62)씨는 "중국어선들은 기후 악화로 우리들이 조업을 멈춘 틈을 타 출몰한다. 해양경찰 해체 소식도 이들의 불법 행위에 부채질한 것 같다"며 "올 가을 피해 규모만 따져도 100억 원대에 이를 것으로 본다"며 대책을 호소했다.
이어 "중국어선들은 쌍끌이로 바닷속을 뒤집어 놔 환경 파괴와 어족 자원 고갈 등 2차 피해도 우려되는 실정"이라며 "우리는 무얼 먹고 살아야 하느냐"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백령·대청·소청도 어민 30여 명은 지난 12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불법조업 중국어선에 대한 대책 마련을 정부와 시에 촉구했다.

이들은 같은 날 서울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사무실을 찾아가 고충을 전달했지만 "해경 해체와 정부 인사가 진행 중이다. 모두 마무리되면 논의하자"는 대답만 듣고 발길을 돌렸다.  

곽윤직 중국어선 불법조업 대책위원장은 "해경 해체 등으로 어민들의 우려가 점차 커지는 실정"이라며 "해양안전본부의 함정을 늘리고 어장 인근에 상주시켜 불법조업에 긴밀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그는 "중국어선들의 불법조업은 매년 끊이지 않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피해보상과 장기적인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연평군 대청도 및 소청도 어민들이 1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중국 어선 불법 조업에 대한 정부대책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조윤길 옹진군수는 18일 이런 어민들의 고충을 담아 박근혜 대통령에게 특별 대책을 건의하는 서한을 보냈다.

옹진군의 한 관계자는 "서한에는 대청도 해군기지를 해양안전본부 기지로 전환, 서해 NLL 인근 불법조업 방지 시설 설치, 어민 생계 대책인 조업 구역 확대 등의 내용이 담겼다"며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수산회 부설 수산정책연구소는 2012년 기준으로 중국의 불법조업에 따른 직접적인 수산자원 감소만 67만5천t(평균단가 ㎏당 2천 원)에 달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는 2012년 우리나라 수산물 총 생산량 318만3천t의 21.2%, 연근해어업 생산량의 61.9%에 해당한다. 이에 따른 연간 평균 손실 규모는 1조3천500억원으로 추산됐다.

아직 올해 피해규모는 공식적으로 집계되지 않았지만 불법조업 중국어선들이 크게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최악의 수치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