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혼인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건수도 지난 2004년 이후 가장 적었다.

평균 초혼연령도 남자가 32.4세, 여자가 29.8세로 계속해서 올라가는 추세다.

이혼도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결혼 생활 30년이 넘은 부부의 '황혼 이혼'이 크게 증가했다.

Like Us on Facebook

 
통계청은 23일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혼인·이혼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혼인건수는 30만5,500건으로 전년보다 5.4%(1만7,300건) 감소하면서 2004년(30만8,600건)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인구 1천명 당 혼인건수로 국제적인 혼인율 비교수치인 조(粗)혼인율은 6건으로 전년보다 0.4건 줄었다. 이는 1970년 조혼인율 통계를 산출한 지난 1970년 이후 역대 최저다.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가 32.4세, 여자가 29.8세로 전년보다 각각 0.2세 올랐다.

평균 재혼연령도 남자가 47.1세, 여자가 43세로 전년보다 각각 0.4세, 0.5세 올라갔다.

지난해 이혼은 11만5,500건으로 전년보다 0.2%(200건) 증가했다.

인구 1천명당 이혼건수인 조이혼율은 2.3건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배우자가 있는 사람의 인구 1천명 당 이혼건수인 유(有)배우 이혼율도 4.7건으로 전년과 비슷했다.

평균 이혼연령은 남자 46.5세, 여자 42.8세로 전년보다 각각 0.3세, 0.4세 올랐다.

이혼부부의 평균 혼인지속기간은 14.3년으로 전년 대비 0.2년 늘었다. 오래 살다 이혼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이혼 부부 중 혼인한 지 20년 이상 된(30년 이하) 부부의 비중은 28.7%로 가장 많았다.

2011년까지 결혼한 지 4년 이하 부부의 이혼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2012년부터는 20년 이상 된 부부의 비중이 가장 크다.

특히 혼인한 지 30년 이상 된 부부의 '황혼 이혼'이 1만300건으로 전년보다 10.1% 늘어났다. 2012년(8.8%)과 2013년(8.4%)에 비해 증가폭이 커졌고, 10년 전에 비해서는 2.3배나 증가한 것이다.

또 자녀의 유무가 이혼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가 3명 이상 있는 부부의 이혼율은 크게 떨어졌다.

미성년 자녀가 있는 이혼 부부는 전체 이혼의 49.5%로 전년보다 3.1% 감소했으며, 미성년 자녀가 3명 이상인 이혼 부부는 3.3%에 불과했다. 그러나 2명은 20.2%, 1명은 25.9%로 올라갔다.

협의이혼은 전년 대비 1.3% 늘었으나, 재판이혼은 전년 대비 3.3% 줄어 2010년 이후 감소세를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