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갚기 위해 쓰는 돈이 교육·의료 분야 지출보다 많아

아프리카와 남미, 아시아의 저개발국들이 지난 10년간 선진국 투자자들로부터 3조5천억 달러(약 4천612조원)의 돈을 빌렸으며, 채무국들은 식량 가격 상승과 고금리 등으로 사정이 더 어려워지면서 역대 최악의 부채 상환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3일(수) 보도했다.

나이지리아의 경우 2022년 부채 상환액이 75억 달러로 이 나라 연간 재정 규모보다 9억 달러 많다. 따라서 채무상환을 위해 다시 돈을 더 빌려야 하는 상황이다.

이는 나이지리아의 문제만이 아니다. 선진국 투자자들에게 '개발가능성 높은 국가'(프런티어 마켓)라는 이름으로 포장돼 분류된 저개발국들이 2024년에 상환해야 하는 채무가 2천억 달러(약 263조원)에 달한다.

나이지리아 주민

(나이지리아 주민. 연합뉴스)

볼리비아, 에티오피아, 튀니지와 그 외 10여개국이 발행한 채권들은 이미 채무 불이행 상태에 있거나, 그에 준하는 수준이다.

이 국가들은 내수 시장이 작은 데다 병원이나 도로, 학교 및 기타 긴요한 분야에 쓸 돈을 조달하려면 글로벌 금융기관에서 빌리는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황은 더 심각하다.

과거에는 돈을 빌리기가 쉬웠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고금리를 오랜 기간 가져가겠다고 밝힌 뒤로 이들의 자금줄은 씨가 말랐다. 내년에는 더 위험해졌다.

민간은행과 각국 중앙은행, 투자 매니저, 보험사 등 여러 금융기관을 대표하는 국제금융협회(IIF) 소냐 깁스 국장은 "글로벌 금리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가장 안전하다고평가되는) 미국 국채를 사도 금리를 4~5% 주는 마당에 이런 저개발국에 투자할 사람을 찾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코로나와 같은 주요 사건이 위기를 촉발시켰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선진국들은 경기 부양을 위해 돈을 찍어냈고, 저개발 국가들은 경제운용을 위해 돈을 빌려야 했다.

선진국의 투자자들은 이자를 더 많이 주는 곳을 찾아 돈을 빌려주는 손쉬운 방법을 택했다.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면서 식량 가격이 치솟았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전 세계적으로 물가도 급등했다.

IIF가 '프런티어 마켓'으로 분류한 42개 국가의 정부 및 기업·가계부채는 올해 3조5천억 달러에 달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0년 전보다 약 2배 증가한 수치다.

이들 국가에서는 부채 상환을 위해 주요 분야 예산 지출도 줄이고 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절반인 33억명이 교육과 의료보다 부채 상환에 더 많은 돈을 쓰는 나라에서 살고 있다.

'프런티어 마켓'에 돈을 빌려준 투자자들도 고통에 대비하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프랭클린 템플턴, 티로웨 프라이스 그룹이 관리하는 펀드들이 해당한다.

'프런티어 마켓' 전용 주식 펀드를 관리하는 스웨덴 툰드라 폰더 AB의 마티아스 마틴슨은 "지금은 이들 국가에 30년 만의 최악 위기"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