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올해 1~5월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11%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선전했다고 온라인 오토전문 매체가 지난 29일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미국이 부과한 25% 수입 관세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 중심의 전략과 철저한 재고 관리로 시장 영향력을 확대했다는 평가다.

현지 시장조사기관 워즈인텔리전스(Wards Intelligence)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는 올 들어 5월까지 총 75만2,778대를 판매해 지난해 같은 기간(10.5%)보다 0.5%포인트 오른 11%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브랜드별로는 현대차가 40만116대(5.8%), 기아가 35만2,662대(5.2%)를 각각 판매했다.

준공식 앞둔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조지아에 준공한 현대차 공장 메타플렌트. 자료화면)

업계 관계자는 "미국 수입 관세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한 물량을 확보해 사전에 대응한 것이 점유율 상승으로 이어졌다"며 "특히 가솔린 하이브리드 모델 판매가 증가하면서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 중 하나인 미국에서 경쟁력을 높였다"고 말했다.

최근 전기차(EV) 수요가 둔화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가솔린 하이브리드 차량의 인기가 높아지는 추세다.

다만 현대차·기아는 4월 3일부터 시행된 25% 자동차 관세를 차량 가격에 반영할 수밖에 없어, 향후 판매가격 인상에 대한 부담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백악관에서 열린 법안 서명식에서 "미국 노동자들을 더 강하게 보호하기 위해 가까운 미래에 자동차 수입 관세를 추가로 인상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자동차산업과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며 "이 같은 조치를 통해 미국 노동자들을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