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ke Us on Facebook
이는 5만원권 중 상당물량이 지난해 한국은행 금고를 빠져나간 후 상당수가 좀처럼 다시 돌아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5만원권은 1년 전보다 9조8천933어원(26.1%)이나 늘어났고, 증가율도 두드러지게 높았다.
실제로 올해 1∼8월 5만원권의 환수율은 22.7%로, 작년 동기 54.0%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 기간 한국은행 금고에서 나와 시중에 풀린 5만원권이 100장이라면 한은에 돌아온 5만원권은 약 23장이라는 얘기다.
반면 1만원권의 환수율은 100%를 넘고 5천원권은 74.2%, 1천원권은 80.3%이다.
이와 관련해 한은은 “금융위기 이후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강화되고 저금리로 화폐 보유성향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고액권 중심의 화폐 수요 증가가 주요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이라는 의견을 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정부가 지하경제의 양성화를 국정과제로 내세운 지난해부터 환수율이 떨어졌다는 점에서 5만원권 증가의 배경에는 세금을 피하려는 지하경제 수요로 작용하고 있다는 일명 검은돈 오명이 뒤따르고 있다. 5만원권의 연간 환수율은 발행 첫해인 2009년 7.3%에서 2010년 41.4%, 2011년 59.7%, 2012년 61.7% 등으로 꾸준히 상승하다가 지난해 48.6%로 뚝 떨어졌다.
또 실제, 각종 뇌물 사건이 터질 때마다 5만원권은 단골로 등장하고 있다. 5만원권의 실종과 관련, 가장 의심을 받고 있는 정치권을 비롯해, 세간을 떠들썩하게 한 김제 마늘밭 돈다발 사건 등 5만원권의 음성거래가 포착되고 있고, 현 정부 출범 이후 양성화된 지하경제가 현금 선호를 불러 일으켜 음성 현금거래를 부추긴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