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ke Us on Facebook
한국은행이 8월과 10월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하고 가을 이사철까지 겹치면서 이런 현상은 더욱 급속화되는 실정이다.
전세금을 은행에 맡겨 봐야 손에 쥘 수 있는 이자 수익률은 연 2.1∼2.3% 수준이다. 이자소득세 등을 제하면 수중에 남는 금액은 더 적어진다.
집주인 입장에서는 떨어진 금리만큼 재계약 시 전세보증을 늘리게 된다. 전세 대신 월세나 반전세를 원하는 집주인이 늘어 전세 품귀 현상이 겹치면서 전세금은 더욱 급등하고 있다.
실제로 국민은행이 매주 집계하는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를 보면 2012년 10월 셋째주 98.7이었던 전세지수는 2년 뒤인 지난 20일 111.9로 올랐다. 전세보증금이 3억원인 경우 재계약 시 보증금이 평균 4천만원 오른 셈이다.
계약 갱신 기간마다 급등하는 전세보증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전세 세입자들은 은행 전세대출에 기대야 한다.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6개 국민주택기금 수탁은행(우리·국민·신한·하나·농협·기업)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지난달 말 15조8천억원이다. 지난해 말보다 4조원(약 34%) 늘어난 규모다.
전(全) 은행 및 기금 대출은 올해 8월 말 33조원으로 올해 말에는 약 35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비싼 전세값에 빚을 늘리는 렌트 푸어가 늘고 있다는 뜻이다. 늘어난 전세보증금을 빚으로 충당하는 대신 월세로 대신 지급하는 반전세 세입자도 늘고 있다.
집주인 입장에서도 전세보증금을 올려 은행에 맡기는 것보다 월세로 전환하는 수익이 더 크다 보니 월세를 낀 반전세를 제외한 순수한 전세 매물은 부동산 시장에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결국 초저금리 → 전세수익 감소 → 반전세·월세 전환 → 전세 감소 → 전셋값 상승의 악순환 구조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초저금리 기조는 소형 주택을 많이 찾는 서민층에 더 큰 부담으로 돌아오고 있다. 월세나 반전세 전환 현상이 월세금 전환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소형 면적 중심으로 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반전세·월세로의 전환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더라도 서민 고통 완화를 위해 정부가 속도조절과 완충 장치 마련을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갑작스런 전세값 상승과 월세 전환으로 서민이 죽어나가는 일을 막으려면 공공이 일정 기간 전세공급을 대신 하는 등 연착륙 정책이 필요하다” 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