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성규 기자] = 지난해 신규 취업자가 일자리 안정성이 떨어지는 비정규직, 노후 문제에 맞닥뜨린 50·60대 취업 위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ike Us on Facebook


작년 취업자 수는 2002년 이래 12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비정규직 수는 607만7천명(전체 임금근로자의 32.4%)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비정규직 수는 2005년 548만3천명으로부터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지난해 처음으로 600만명을 넘어섰다.

성별로는 여성이 전체 비정규직의 53.5%(325만1천명)로 남성(46.5%·282만6천명)보다 많았다.

비정규직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6개월로 정규직(7년1개월)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또 비정규직과 정규직간 간극은 그 차이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3만1663개 표본사업체 소속 근로자 82만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월 임금 차이는 2008년 134만9천원에서 2013년 158만1천원으로 커졌다.

한국의 비정규직 문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축에 속한다.

OECD가 비정규직 근로자를 추적 조사한 결과 한국의 비정규직 10명 중 몇 년 뒤 정규직으로 전환된 사람은 1∼2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8∼9명은 여전히 비정규직이거나 실업 상태였다.

이는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 16개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열악한 수준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해법이라고 입을 모았다.

윤희숙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좋은 일자리'의 핵심은 안정성인데, 정규직을 그대로 둔 채 비정규직의 안정성을 높이면 기업의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며 “따라서 성과가 부진한 정규직에 대한 해고 요건을 완화하는 것이 비정규직 문제 해결의 한 방법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광석 선임연구원은 “비정규직의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며 "임금 뿐만 아니라 사회보험과 근로복지 등의 측면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격차를 좁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나 민간 연구소들은 올해 고용이 지난해에 못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12월 내놓은 '201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취업자 수가 45만명 증가할 것으로 봤다. 지난해(53만명)보다 8만명 정도 모자란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을 35만명, LG경제연구원은 51만명, 금융연구원은 45만명, 현대경제연구원은 40만명대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