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ke Us on Facebook
작년 취업자 수는 2002년 이래 12년 만의 최대치를 기록했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비정규직 수는 607만7천명(전체 임금근로자의 32.4%)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비정규직 수는 2005년 548만3천명으로부터 대체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지난해 처음으로 600만명을 넘어섰다.
성별로는 여성이 전체 비정규직의 53.5%(325만1천명)로 남성(46.5%·282만6천명)보다 많았다.
비정규직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6개월로 정규직(7년1개월)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또 비정규직과 정규직간 간극은 그 차이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3만1663개 표본사업체 소속 근로자 82만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월 임금 차이는 2008년 134만9천원에서 2013년 158만1천원으로 커졌다.
한국의 비정규직 문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축에 속한다.
OECD가 비정규직 근로자를 추적 조사한 결과 한국의 비정규직 10명 중 몇 년 뒤 정규직으로 전환된 사람은 1∼2명에 불과했다. 나머지 8∼9명은 여전히 비정규직이거나 실업 상태였다.
이는 독일, 일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 16개 조사 대상 국가 중 가장 열악한 수준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비정규직의 고용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해법이라고 입을 모았다.
윤희숙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좋은 일자리'의 핵심은 안정성인데, 정규직을 그대로 둔 채 비정규직의 안정성을 높이면 기업의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며 “따라서 성과가 부진한 정규직에 대한 해고 요건을 완화하는 것이 비정규직 문제 해결의 한 방법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광석 선임연구원은 “비정규직의 근로조건을 개선하고 안정성을 높여야 한다"며 "임금 뿐만 아니라 사회보험과 근로복지 등의 측면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격차를 좁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나 민간 연구소들은 올해 고용이 지난해에 못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12월 내놓은 '201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취업자 수가 45만명 증가할 것으로 봤다. 지난해(53만명)보다 8만명 정도 모자란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을 35만명, LG경제연구원은 51만명, 금융연구원은 45만명, 현대경제연구원은 40만명대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