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中 수출 제한 확대도 논의"
도쿄일렉트론 주가 4.9% 하락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국 반도체 통제 강화를 구상하고 있으며, 일본·네덜란드 등 동맹국에도 중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도록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24일(현지시간)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이 최근 일본·네덜란드 당국자들과 만나 도쿄일렉트론과 ASML 등 양국 반도체 장비업체의 중국 내 장비 유지보수 제한에 대해 논의했다면서 이같이 보도했다.
미국은 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램리서치 등 자국 업체에 이러한 제한을 두고 있는데, 동맹국에도 유사한 수준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기술 굴기를 막기 위한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의 반도체 통제가 트럼프 행정부에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네덜란드 기업의 중국 내 장비 보수 제한은 바이든 행정부 때도 추진한 사안으로, 당시 네덜란드 측은 구두로 합의했지만 미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한 뒤 미국 측에 이의를 제기했다는 게 바이든 정부 인사의 설명이다.
또 일부 사안은 바이든 행정부 내 강경파가 밀어붙이려다 내부 합의를 이루지 못해 무산됐는데, 트럼프 행정부가 이를 이어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소식통들은 미국이 특정 중국 기업들을 제재하는 방안에 대해 초기 수준의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 메모리칩 업체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의 미국 기술 매입을 막으려다가 일본 측의 반대로 접었는데,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이를 다시 꺼내 들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 일부 인사는 중국 파운드리업체 중신궈지(SMIC)에 대한 제재 강화도 원한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화웨이는 2023년 SMIC의 7㎚(나노미터·10억분의 1m) 칩이 들어간 스마트폰을 출시해 주목받은 바 있다.
또 트럼프 행정부 일부 인사는 엔비디아가 별도 허가 없이 중국에 수출할 수 있는 반도체의 양과 종류를 더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바이든 행정부 내에서도 이러한 움직임이 있었지만, 지나 러몬도 당시 상무장관이 밀어붙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바이든 행정부가 임기 막판 시행한 AI 관련 규제도 정비·강화하려 한다고 복수의 소식통이 전했다.
이 규제는 각국을 3개 등급으로 나눠 AI 개발에 필요한 반도체 수출 상한을 정한 것으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업계 관계자들이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다만 블룸버그는 트럼프 행정부 주요 기관의 인사 문제로 새로운 규제가 나오려면 몇 달 걸릴 가능성이 있으며, 동맹들이 미국 새 행정부에 어떤 입장을 보일지도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악관을 비롯해 일본·네덜란드 정부는 블룸버그의 논평 요청에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이날 일본 증시에서 도쿄일렉트론(-4.93%)과 어드반테스트(-6.54%) 등 반도체 관련주 주가는 급락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