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성규 기자] =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로 급증한 가계부채와 함께 개인사업자 대출 역시 지난해 1년간 19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말 현재 예금 은행의 개인사업자 대출은 209조3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8조8000억원이나 늘었다.

연간 개인사업자 대출 잔액 증가액은 2007년(19조8천억원) 이후 7년만의 최대다.

은행들은 2000년대 초중반 이른바 '소호'(SOHO)라는 이름을 내세워 개인사업자 대출을 대거 늘리다가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해 부실을 대거 털어버려 2008년에는 개인사업자 대출 증가 규모가 6조7000억원에 그쳤다.

그러나 2011년 13조원, 2012년 15조원, 2013년 17조1000억원 등 증가폭이 다시 커지고 있다.

개인사업자 대출은 자영업자가 빌리는 가계 대출과 비교할 때 명목상 용도는 다를 수 있지만 실제 용도는 생활자금과 사업자금 간에 구분이 불확실하고 부채 상환 책임도 결국 자영업자 개인에게 귀속된다는 점에서 가계부채 성격이 짙다.

그러나 은행 내부적으로 사업자등록증을 가진 자영업자에 대한 중소기업 대출로 분류하면서 각종 금융 통계에서는 기업 대출로 잡힌다.

문제는 가계부채와의 경계가 모호한 만큼 가계부채의 부실이 문제화될 때는 함께 부실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은행은 지난 2013년 10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자영업자 대출이 신용리스크로 부각될 잠재위험을 경고하기도 했다.

당시 분석에 쓰인 가계금융·복지조사 내용을 보면 2012년 3월 현재 가구주가 자영업자인 가구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은 1인당 평균 937만원으로 가처분소득의 23.1%에 달했다.

지난해 가처분소득에 대한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상용근로자는 19.5%, 일용근로자는 18.4%다.  

대출 중 만기 일시상환 대출의 비중은 자영업자가 40.5%로 상용근로자(35.4%) 등에 비해 역시 높았다.

그러나 자영업자 부채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다. 기업 대출이 되기도 하고 가계대출이 되기도 하면서 제대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