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예원 기자] = 대한민국 기업 생태계가 노후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해 4월 발표한 자산 규모 상위 그룹은 삼성, 한국전력공사, 현대자동차 SK, LG, 롯데, 포스코 등 익숙한 기업들 이름 뿐이다. 그나마 변한 점이라면 새롭게 순위에 진입 한 5그룹 중 3곳이 한국석유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서울 메트로 등 공기업이라는 점이다. 신생기업은 없다.

Like Us on Facebook


한국 젊은 청년들은 기업가를 꿈꿀 뿐 선뜻 실행에 옮기지 못한다. 지난해 2030세대 780명 중 44.1%가 ‘창업을 고려해봤다’ 고 응답했다. 그러나 국내 사업체 증가 속도는 매년 떨어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2년 기준 신생기업이 1년 후 생존률은 59.8%로 2008년 61.8%를 기록한 이후 줄곧 하락세다. 또 신생기업 10개 중 7개는 5년 안에 문을 닫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몇 년간 비지니스 패러다임이 사물 인터넷, 웨어러블, 3D프린터 등 신기술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동안 이와 관련헤 주목받는 국내의 신생기업은 한곳도 없었다.

국내 청년 창업률이 극히 낮은 이유는 국내 환경이 창업을 하기에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정부나 기관이 주도하는 창업지원사업은 통상 1년 안에 성과가 나와야 단계별 지원을 해준다. 또 연대보증 등 요인으로 재창업이 어렵다는 점도 창업 기피현상을 만들고 있다. 부도기업인재기협회에 따르면 부도기업인의 60%는 행상, 일용직 노동자로 생활하고 있고, 노숙자도 20%를 차지하고 있다. 젊은 청년들의 부족한 기업가 정신도 창업부재의 이유로 꼽을 수 있다. 2009년 EU가 세계경제포럼(WEF)을 통해 초등학교 때부터 기업가 정신의 의무 교육화를 권했지만 국내에서는 콘텐츠 부족, 교사 부재 등으로 아직 도입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반영한 종합대책이 마련되었다는 점이다. 정부는 핵심 경제정책으로 ‘규제 완화’ 를 꼽고 중소·벤처 기업을 육성해 고용 창출로 연결하는 내용의 방안을 마련했다.

28일 정부는 4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 과 대학 내 ICT 연구센터에서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창업→성장→회생→퇴출→재창업으로 이어지는 역동적인 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 재도전, 재창업 지원도 강화한다. 연대 보증 면제 범위도 확대돼 연대 보증으로 사업실패 후 신용불량자로 전락하는 사업자도 줄어 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