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ke Us on Facebook
지난해 12월29일 정부는 통일준비위원회를 내세워 올해 1월 중에 남북대화를 갖자고 북측에 공식 제안했지만, 사실상 1월의 마지막 근무일인 30일에도 북한은 대화제의에 호응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우리가 추진해 온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행사도 어렵게 됐다.
우리 정부는 이날 1월이 넘어가더라도 북한과 대화를 가질 방침임을 확인하며 북측의 조속한 대화 호응을 촉구했다.
임
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언제든지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북한이 대화에 호응해오기를 촉구하고 앞으로 북한의 반응이나
태도를 포함한 남북관계 상황 등을 고려해서 여러 가지 대응방안도 검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임
대변인은 또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 문제와 관련, "설을 전후로 열리면 좋겠지만, 그보다 늦은 시기라도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성사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호응해 나온다면 이 행사가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우리 정부는
실질적인 준비 작업을 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저런 전제조건을 달지 말고 하루빨리 호응해 나와서 이산가족의 한을 풀어 드릴 수 있도록 협력해 주길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밝혔다.
연초 김정은 신년사를 통해 북한이 남북대화 의지를 내비친 것과는 달리 한 달이 넘도록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에 구체적으로 호응하지 않는 것을 두고서는 대화 전 주도권 잡기를 위한 대남 압박이라는 관측이 우세한 상황이다.
북한은 최근 대북 전단살포 금지와 한미연합훈련 중단, 5·24조치 해제 등을 연일 요구하며 이를 사실상 대화 개최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 설정, 우리 정부의 태도 변화 없이는 대화에 나서지 않겠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대화가 이뤄질 경우 모든 걸 협의할 수 있다는 탄력적인 입장을 보이면서도 북한이 요구하는 전제 조건에 대해선 먼저 조치를 내놓지는 않겠다는 입장 역시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런 국면이 계속될 경우 한미연합군사훈련인 키리졸브가 시작되면서 남북관계 경색은 올 봄까지 계속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김
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은 남한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움직일 것인가에 대해서 계속 의문을 갖는 상황"이라며 "특별히
상황이 개선될만한 요소가 없다면 계속 말 대 말의 공방으로 2∼3월이 흘러갈 가능성이 현재로선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