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로 선정됐다.

한국이 '2016 블룸버그 혁신 지수'에서 총점 91.31점을 받아 조사 대상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고 19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이로써 한국은 2014년과 2015년에 이어 3년 연속 1위를 했다. 2위인 독일과의 격차도 6점 가까이 벌리며 최고 순위를 공고히 지켰다.

독일이 85.54점을 얻어 2위에 올랐고 스웨덴(85.21점), 일본(85.07점), 스위스(84.96점), 싱가포르(84.54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미국(82.84)은 8위, 중국(72.12)은 21위로 조사됐다.

블룸버그 혁신지수는 총 7개 부문으로 구분해 국가의 혁신력을 종합적으로 판단한다.

항목별로는 제조업 부가가치, 고등교육 효율 등 두 부문에서 한국이 1위에 올랐고 연구개발(R&D) 지출 집중도, 첨단기술 집중도, 특허등록 활동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연구원 분포도에서는 6위로 평가됐다.

그러나 생산성 부문에서는 낮은 노동생산성 등으로 39위로 평가받아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는 동유럽 개발도상국인 슬로바키아(38위), 에스토니아(34위)보다도 밀리는 순위다.

마커스 놀랜드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 부소장은 "한국은 저임금의 중국과 기술적으로 더 발전한 일본 사이에 끼어 있다"며 "그래서 지금 같은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불안감과 급박감 같은 것이 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50개 국가 중에서 혁신 지수 1위를 달성한 것은 중장기적으로 성장 전망이 밝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면서 "이런 성과에는 그간 추진한 창조경제 활성화와 우리 기업들의 혁신 노력이 반영됐다"고 밝혔다.

또한 "블룸버그가 지적한 낮은 노동생산성 등의 문제는 4대 법안 입법 등 노동개혁 추진을 통해 해소해야 할 과제"라면서 "연공서열 등의 문화로 인재들의 기업 간, 경제부문 간 이동이 적어 혁신의 빠른 확산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신생기업 창업 부진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대·중소기업 윈-윈(win-win) 모델을 확산해 쉽고 질 높은 창업을 활성화하겠다고 기재부는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실리콘벨리에서 창업기업이 계속 생겨나는 미국과 달리 한국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있어도 대기업 내의 사업화로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인정하지만 개선도 해야.."

이에 온라인에선 "인정할 건 인정하지만 국가적으로 개선해야 할 부분도 많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네이버 아이디 'celt****'는 "미국에 살다 와서 느낀 건 한국이 빨리 변해서 항상 바쁜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미국은 '이렇게 여유로워도 될까' 싶을 정도다. 우리나라가 더 좋아질 거라는 희망으로 살아간다"고 썼다.

같은 포털의 'trim****'는 "정치만 잘하면 진짜 좋은 나라가 될 텐데.... (정치가) 대한민국 사람들의 재능을 억누르고 있다"는 글을 올렸다.

블룸버그는 한국이 제조업 부가가치, 고등교육 효율 등 부문에서 1위에 올랐고 연구개발(R&D)과 첨단기술 집중도, 특허등록 활동에서는 2위를 차지한 반면 생산성 부문에서는 39위로 평가받아 하위권에 머물렀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네이버 아이디 'zzan****'는 "생산성이 낮다는 뜻은 일주일 내내 '야근이다 철야다' 하지만 결과물은 하루 8시간 5일 근무하는 국가보다 못하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포털의 'duvk****'는 "우리나라는 제조업 국가인데 대학진학률이 너무 높아지면서 중소기업 생산직을 기피하는 현상이 생겼다. 국가가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신에서 한국을 '혁신적인 국가'라고 평가하더라도 실제 국민의 삶의 질은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었다.

다음 이용자 '스카이'는 "계약직, 파견직, 저임금 노동자의 땀과 눈물이 깃들어 있다. 이제 노동환경을 개선하고 재벌을 개혁하는 등 질적인 향상에 힘써야 하는데 더 낮은 임금, 더 쉬운 해고만을 추구하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