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이 공급 측 요인으로 발생했다는 미 행정부의 입장과 다르게 소비 수요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뉴욕타임스(NYT)는 24일(수) 보도했다.

줄리언 디 조반니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 연구원은 뉴욕 연은과 메릴랜드대, 하버드대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를 요약한 내용을 홈페이지에 올렸다.

이에 따르면 2019∼2021년 미국에서 발생한 인플레이션의 60는 전 품목에 걸친 소비 수요 증가로 인한 것이다.

나머지 40%는 상품 생산과 운송에 필요한 노동력, 원재료, 컨테이너선 등의 부족을 포함한 공급 충격 탓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이 분류한 66개 업종 중 58개 업종에서 물품 공급에 문제가 있었다.

물가상승

보고서는 유럽에서의 인플레이션은 공급망 병목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고,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수요폭등'으로 더 잘 설명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공급망 병목현상이 없었다면 2019∼2021년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9%가 아니라 6%가 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조반니 연구원은 "이번 분석의 핵심은 공급망 문제가 인플레이션에 있어 수요증가의 영향을 확대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수요증가 자체만으로도 물가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공급이 수요증가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물가상승에 배가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가 정책당국자와 정치인들이 인플레이션의 성격을 둘러싸고 벌인 논쟁에 하나의 답을 제공한다고 NYT는 평가했다.

많은 경제학자는 팬데믹 기간 미 행정부가 시행한 대규모 경기부양책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는 입장이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는 공급망 문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연료 가격 상승이 인플레이션의 원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NYT는 또한 정책 당국자가 인플레이션을 위해 취하는 조치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소비 수요와 경제를 진정시키기 위해 공격적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지만,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단을 갖고 있지는 않다. 

만일,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바이든 행정부의 주장대로 공급망만의 문제라면 연준의 금리인상만으로 인플레이션을 해결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반대로 수요측면이 인플레이션의 원인이라면 연준의 금리인상은 물가상승을 억제하는데 적절한 수단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