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의 기술 개발 또는 혁신은 일부 지역에 국한돼 있었으며, 기술 메카로 불렸던 곳은 대표적으로 실리콘밸리와 샌프란시스코 인근 지역, 텍사스 오스틴 일대, 동부에서는 보스턴 등이 꼽혔다. 이곳들은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의 요람이었으며, 벤처캐피탈 투자가 집중됐다. 

미국 정부가 이같은 혁신 기술을 적용한 테크 허브를 미 전역에 확신 시키려는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CNBC가 보도에 따르면, 미국 정부가 1차로 5억 달러를 들여 미국 중부에 소재한 대도시 지역을 선정, 기술 혁신의 허브로 바꾸기 위한 정책을 시작했다.  

미 상무부는 테크 허브로 선정되는 중부 도시에 펀딩 기회를 제공하는 지역 기술개발 및 혁신 허브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통지했다. 

상무부는 이를 NOFO(Notice of Funding Opportunity)라고 불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전국의 도시들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적격 심사를 거쳐 기술 허브 도시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선정되는 도시에는 기업가들과 기술자들이 살고 일하기에 매력적인 장소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연방 예산을 지원한다. 

지나 레이몬도 상무장관은 "미국은 기술 혁신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슬픈 현실은 우리의 기술 생태계가 일부 지역에만 극도로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라면서 "미국 벤처 자본의 80%가 샌프란시스코 베이, 소위 실리콘밸리 및 주변 지역, 북동부 및 남부 캘리포니아에 투자되어 있다"고 언급했다. 

지나 레이몬드

(지나 레이몬드 미국 상무부장관. 자료화면 )

레이몬드 장관은 또 "전국적으로 기술 혁신의 잠재력이 훨씬 더 많다. 미국에는 세계 최고의 연구 기관이 있다. 이 점은 논란의 여지가 없다. 그리고 이들 연구소들의 상당수가 현재 기술 허브라고 불리우는 해안 지대에서 멀리 떨어진 미국의 심장부에 있다"고 강조했다. 

미 연방 의회는 이 프로그램을 위해 올해부터 2027년까지 총 100억 달러를 집행할 것을 승인했으며, 그 중 5억 달러가 올해 배정돼 기술 허브 도시 선정 및 지원 작업에 투입된다. 일단 1500만 달러의 보조금이 테크 허브로 지정되는 신청자에게 제공돼 기술 기획 수립을 지원하게 된다. 상무부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5~10개의 기술 허브 도시를 선정할 것이며 각 도시마다 5000만~7500만 달러의 보조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바이든 대통령도 이와 관련, 내년 예산에서 40억 달러를 테크 허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의회에 요청했다.

지원 대상은 고등교육기관, 지방자치단체 또는 주 정부의 담당 분과, 관련 기술 또는 제조 분야의 산업 또는 기업, 경제 개발 그룹, 노동 조직 또는 근로자 훈련 기관 등 기술과 관련된 모든 분야가 해당되며, 각 범주마다 복수의 그룹을 선정한다. 

프로그램에 따라 테크 허브는 인공지능(AI), 로봇 공학, 자연 재해 예방, 생명공학, 사이버 보안, 에너지 효율성 등 특정 핵심 기술 분야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프로그램에 따라 지정되는 기술 허브는 최소 20개다. 상무부는 보조금이 투입되는 전국 각 지역이 혁신의 중심이 되고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희망했다. 

레이몬도 장관은 "현 정부는 모든 국민들이 어디에 살든 경제적 기회를 공정하게 획득할 자격이 있다고 믿으며, 모든 장소에서 좋은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직업을 얻기 위해 이사할 필요가 없도록 만드는 것이 임무"라고 강조하고 뉴욕이나 샌프란시스코가 기술직 획득을 위한 유일한 이주 대상지가 될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프로그램을 반도체법 등 미국의 일련의 산업 보호 조치와도 연계해 미국 국가 안보를 위한 투자라고도 규정했다. 

상무부는 제조와 기술 혁신에 대한 미국의 리더십은 강화될 것이라며, 테크 허브 프로그램을 통해 양자 기술에서 인공지능, 생명공학 등 다양한 필수 기술에서 앞서나가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