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들어 원·달러 환율이 다시 급등해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갈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31일(월) 블룸버그 통신은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고 보도했다. 이날 서울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2.8원 오른 달러당 1,424.30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

블룸버그 분석에 따르면, 원화 가치는 현 시점에서 추가로 5% 이상 하락할 수 있다.

 

올해 달러대비 원화 가치는 이미 16% 이상 하락했지만, 추가로 급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원화 가치의 추가적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것은 블룸버그 뿐만이 아니라 뱅크오브아메리카와 ING 파이낸셜마켓, 일본의 노무라홀딩스와 미즈호파이낸셜 등도 이 같은 입장이다.

이같은 전망의 배경에는 한미 기준 금리 격차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RB·연준)는 1~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다시 0.75%포인트 추가로 올려 금리 상단을 4%로 올릴 것이 거의 확실시 된다.

여기에 더해 12월에 한 차례 더 FOMC가 남아 있는데 물가 상황에 따라 한 번 더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을 밟을 수도 있는 상황이다.

반면 미국과 달리 한국의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현시점에서도 한국의 기준금리는 3%로 미국(상단 3.25%)보다 낮다.

연준이 11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경우 금리차이가 1%가 나고 12월에 추가적인 자이언트 스텝을 밟을 경우 1.75%까지 금리 역전이 벌어질 수 있는데, 한번 밖에 남지 않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통해 금리차를 얼마나 줄일 수 있겠는가 하는 점이 원화가치 약세를 점치는 배경이다. 

물론, 긴급 금통위를 열어서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한다거나 한국은행이 미국 중앙은행처럼 한번에 자이언트 스텝(0.75%)과 같은 큰 폭의 금리인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은행이 미국 연준처럼 못하고 주저하는 배경에는 심각한 가계부채가 있다. 

한국은행은 이달 24일 올해 마지막 금통위에서 빅스텝(0.5%)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한국 기준금리 고점이 3.5% 수준이 될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 "다수 위원이 말한 수준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동의한 바 있다. 

이처럼 미국 금리 인상폭이 한국을 앞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달러 유출이 예상되고 이로 인해 원화 약세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이미 이와같은 금리역전과 금리차 확대에 대해서는 이미 시장에 반영이 되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