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다양한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 수립"
인도 IPO도 드라이브..."인도법인 캐파 증설도 검토 중"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리스크로 국내 기업들에 적지 않은 영향이 예상되는 가운데, LG전자가 다양한 시나리오 중 하나로 생산지 이전을 고려하고 있다.

김창태 LG전자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23일 4분기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아직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관세 정책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고율관세가 부과된 제품은 여러 생산지에서 생산하는 방법으로 대응하고, 유통업체와도 협력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것"이라며 "만일 관세 인상 수준이 본질적인 공급망 변화를 해야 하면 생산시설 이전 및 기존 캐파(생산능력) 조절 등 적극적인 생산지 변화도 고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G전자 여의도 트윈타워

(LG전자 여의도 트윈타워. 연합뉴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취임식에서 구체적인 관세 정책을 발표하진 않았지만, 대선 중 모든 수입품에 매기는 10∼20%의 보편적 관세를 공약으로 내건 만큼 고율 관세 리스크는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실적 하락을 이끌었던 물류비·운임비와 관련해서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LG전자는 글로벌 가전 수요 회복 지연과 하반기 물류비 상승 요인 등의 여파로 지난해 영업이익은 3조4천197억원으로 전년보다 6.4% 감소했다.

LG전자는 이날 "올해 하반기로 갈수록 해상운임의 추가 인하가 예상된다"며 "물류비의 경우 지속적으로 개선 활동을 하고 있고, (올해는) 매출액 대비 전년 이하 수준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했다.

LG전자가 추진 중인 인도법인의 기업공개(IPO)의 진행 상황도 전했다.

박원재 LG전자 IR담당 상무는 "LG전자가 인도에 진출한 지 27년이 됐다. 생산, 판매 전 과정 걸쳐 현지 완결형 사업 구축했고, 인도의 가전사업은 매우 중요한 성장 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종 상장 여부는 시장 상황에 따라 결정되겠으나 현재 인도 종속 현지 회사인 '엘지 일렉트로닉스 인디아 리미티드'의 (지분) 15%가 매각될 예정이며, 구체적인 매각금액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LG전자는 지난해 말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에 인도법인 상장예비심사청구서(DRHP)를 제출하고 상장을 공식화했다.

업계에서는 통상 DRHP 심사에 3개월가량 소요되는 점 등을 감안해 LG전자의 인도증시 상장이 오는 4∼5월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인도 시장 전략에 대해서 박 상무는 "인도 가전시장의 점유율을 성장시키고, 구독 사업 진출을 통해 인도 소비자의 생활 속에 스며드는 전략을 가속화 할 것"이라며 "(가전 보급 관련) 인도 정부 정책도 면밀히 지켜보면서 캐파 증설도 검토 중이다"고 설명했다.

앞서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서 "인도가 1인당 소득은 낮지만 엄청난 인재를 가지고 있어 인도의 인재를 확보하고 싶고, 앞으로 많은 공장도 지을 것"이라며 "인도에서 정말 사랑받는 국민 브랜드가 되고 싶다"고 밝힌 바 있다.

전장(차량용 전자·전기장비) 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의 경우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인해 전기차 시장 수요가 여전히 부진하고 있지만 수익성 회복에 힘을 쏟는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적극적인 수주 활동과 거래선 다변화로 전기차 시장 회복 이후 매출과 수익성은 점차 회복될 것"이라며 "LG 마그나 멕시코 공장의 (VS사업 내) 매출 비중은 지난해 20% 수준이었으며 올해는 50%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VS사업본부는 높은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지난해 매출액 10조6천205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1천157억원)은 연구개발(R&D) 투자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