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인도 등 여러 양보안과 대응책 제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부과를 일주일 앞두고 아시아와 유럽에 이르기까지 주요 무역 상대국들이 유리한 조건을 얻기 위해 여러 양보안과 대응책을 제시하며 미국과 협상에 나서고 있다.

각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적한 대로 지난 수십년간 미국 기업에 불이익을 줬거나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중국에 유리하게 돼 있는 정책들을 없애겠다는 방안들을 들고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의 마로시 셰프초비치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은 24일(현지시간) 관세 협상을 위해 한 달여 만에 다시 미국으로 향했다.

25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만나 통상 분야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올로프 질 EU 집행위 무역 담당 대변인은 "해로운 관세를 서로 피하기 위해 할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는 게 우리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인도 정부도 25일 예정된 미국 대표단과의 협상에서 상호 관세 면제를 요청할 예정이다.

USTR의 브렌든 린치 남·중앙아시아 담당 부대표 등은 협상을 위해 이번 주 인도를 방문한다.

영국 정부도 상호 관세 부과일인 4월 2일 이전에 디지털 서비스세를 인하하거나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말레이시아는 미국이 첨단 반도체가 중국에 흘러가지 않도록 주시해 달라고 요구한 후 엔비디아 칩의 흐름을 엄격히 통제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은 광범위한 관세가 무역을 더 공정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다른 외교 협상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높이고 연방정부 재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트럼프의 강력한 관세 정책 추진에 불만을 터뜨리는 반응도 나온다.

아일랜드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접근 방식이 EU의 분열을 드러낼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프랑스는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이탈리아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의 대응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 세계 중앙은행 총재와 재무장관들도 글로벌 무역전쟁은 효과적인 금융통화 정책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면서 글로벌 경제 성장을 저해하고 인플레이션을 부추길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상호 관세 부과 때 일부 국가나 부문이 면제(break)될 수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나는 많은 국가(a lot of)에 면제를 줄 수도 있다"고 말해 유연한 입장을 보일 가능성을 열어뒀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 관세를 발표하기 전에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먼저 발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