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가 외국인 입국심사 시에 소셜 미디어(SNS) 검열을 강화하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서명한 행정명령에 이은 것으로, 온라인에서 테러리즘 및 반미(反美) 활동을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3월25일 1700자 외교 전문을 통해 각국 외교공관에 F, M, J 비자에 대해 추가 심사를 시행하라는 지침을 밝혔다.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 연합뉴스)

주요 내용에는 테러 조직 및 반미 활동 관련 계정 모니터링 강화, 위협적인 게시물 탐지 및 삭제, 미국 정부 기관과 소셜 미디어 기업 간 협력 확대 등이 포함됐다.

특히, 미국으로 입국하려는 외국인의 비자 심사 절차에서도 SNS 활동 검토를 더욱 철저히 진행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입국 심사 대상자는 개인의 소셜 미디어 계정을 제출해야 하며, 과거 게시물이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비자가 거부될 가능성이 커졌다.

국무부 관계자는 "온라인을 통해 테러리즘이 확산되고 반미 정서가 조장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라며 "미국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정책을 두고 일각에서는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해 정부 측은 "국가 안보를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며 "정상적인 사용자의 활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가 소셜 미디어 검열을 대폭 강화하는 가운데, 향후 실질적인 시행 과정에서 논란이 불거질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