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에 "경제적 괴롭힘"이라며 강력 반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월요일(4월 7일), 중국이 지난주 발표한 34%의 대미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고 폭스뉴스(FOX)가 7일(월) 보도했다.

중국은 트럼프의 '해방의 날(Liberation Day)' 관세 발표에 대응해 해당 조치를 발표한 바 있다.

트럼프는 자신의 SNS 플랫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다음과 같이 썼다.

"중국은 이미 기록적으로 높은 기존 관세 외에, 불공정한 비관세 장벽, 불법적인 기업 보조금, 장기적인 환율 조작에 더해, 34%의 보복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이는 제가 경고했던 바, 미국에 대해 장기적으로 관세 남용을 해온 국가들이 추가 보복 관세를 가할 경우, 즉각적으로 훨씬 더 높은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중국이 내일(4월 8일)까지 기존의 장기적인 무역 남용에 더해 새롭게 추가한 34% 관세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4월 9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대해 추가 50% 관세를 부과할 입니다. 또한, 중국이 요청한 모든 회담은 즉시 중단될 것이며,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이 즉시 시작될 것입니다. 이 사안에 주의를 기울여주시기 바랍니다!"

트럼프, 중국 보복관세에 추가관세 경고

(트럼프 대통령의 트루스 소셜. Truth Social 캡쳐)

트럼프는 중국을 "관세 문제에 있어 가장 큰 악당(Biggest Abuser)"이라 표현하기도 했다.

그는 또 이렇게 말했다.

"유가 하락, 금리 하락(느릿느릿한 연준은 금리를 더 인하해야!), 식료품 가격 하락, 인플레이션 없음, 그리고 미국은 이미 자리 잡은 관세를 통해 '악용하던 나라들'로부터 매주 수십억 달러를 걷어들이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가장 큰 악당인 중국은 - 자국 시장이 붕괴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경고를 무시한 채 기존의 터무니없이 높은 장기 관세에 추가로 34%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수십 년 동안 미국을 착취해 온 중국은 이제 충분히 벌었으며, 이러한 사태를 방치한 건 과거 '리더들'의 책임입니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

트럼프는 이어 세계 여러 나라들과의 무역 협상 상황을 언급하며 이렇게 덧붙였다.

"전 세계 여러 나라들이 우리와 협상하려 하고 있습니다. 엄격하지만 공정한 기준이 설정되고 있습니다."

"오늘 아침 일본 총리와 통화했습니다. 그들은 협상팀을 보낼 것입니다. 일본은 무역 문제에서 미국을 매우 나쁘게 대우해왔습니다. 그들은 우리 차를 수입하지 않지만, 우리는 그들의 차를 수백만 수입합니다. 농산물도 마찬가지고, 다른 '것들'도 많습니다. 전부 바뀌어야 합니다. 특히 중국은 더더욱!!!"

한편, 중국 외교부는 주말 동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같은 조치는 경제학의 기본 원칙과 시장 원칙을 무시하는 행위이며, 다자간 무역 협상을 통해 이뤄낸 균형 있는 결과를 외면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이 국제무역을 통해 큰 이익을 얻어왔다는 사실도 부정한 채, 자국의 이익만을 위해 관세를 무기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형적인 일방주의, 보호주의, 경제적 괴롭힘입니다. '호혜'와 '공정'이라는 명분 아래, 미국은 본질적으로 '아메리카 퍼스트'와 '미국 예외주의'를 추구하고 있으며, 관세를 통해 기존의 국제 경제질서를 전복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국제 사회의 광범위한 반발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중국은 지난주 자국 제품에 대한 미국의 고율 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제품에 대해 34%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해당 관세는 4월 10일(목)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FOX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의 공식 기관지인 *인민일보(人民日報)*는 월요일 논평에서 다음과 같이 전했다.

"미국의 무차별적인 관세 공격에도 하늘이 무너지지는 않는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으며, 대응할 수 있는 수단도 갖추고 있다."

또한 분석기업 테니오(Teneo)의 한 분석가는 CNBC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중국의 이번 대응에서 '자제심이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점은,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미국과의 무역 합의에 대한 희망이 사라졌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