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60일 후 새 대통령 선거 실시
프랑스 극우 정치인 마린 르펜이 공직 출마를 금지당한 주간에, 한국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하면서, 이번 사건 뒤에 베이징의 개입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되고 있다고 폭스뉴스(FOX)가 전문가의 말을 5일 인용 보도했다.
중동미디어연구소(MEMRI)의 프로젝트 디렉터 안나 마자르-바르두치(Anna Mahjar-Barducci)는 폭스뉴스 디지털과의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의 외교 및 안보 정책은 중국 공산당(CCP)이 오랫동안 지지하고 통제해온 친중 인물들과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고 말하며, 이러한 정책들이 "한국 내 친중 세력을 육성하려는 베이징의 장기 전략에 위협이 되었다"고 지적했다.
마자르-바르두치는 중국 공산당이 "공개적인 경제 협력, 정치 후원금, 은밀한 이익 제공, 심지어 불법 성접대까지도 이용해 특정 한국 정치인들을 장기적으로 포섭해왔다"고 주장하며, 그 목적은 "한미동맹을 약화시키고, 한국의 전략적 자율성을 무너뜨리며, 미국을 희생시키면서 자국의 지역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또한 한 한국인 활동가로부터 "중국이 최근 두 차례의 총선에 부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번 대선에서도 부정 선거가 중국과 협력하여 조직되었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금요일, AP통신은 윤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헌재의 결정에 격분했다고 보도했다. 윤 대통령 지지자 김민선 씨는 "북한과 중국이 사이버 공격, 허위정보 유포, 기술 절도 등을 통해 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것을 막으려는 윤 대통령의 노력을 좌파가 방해하고 있다"며 "탄핵은 이를 막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었다"고 말했다. 야당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부인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자국의 핵무장 역량 강화를 추진하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분노를 산 바 있다. 그는 북한의 위협에 대한 억제력을 키우기 위해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려 했다.
워싱턴 D.C. 주재 중국 대사관은 서울 정치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 폭스뉴스 디지털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으며, 주한미국대사관도 질의에 응답하지 않았다.
마자르-바르두치는 중국 관영 언론이 윤 대통령 파면을 집중 보도한 점을 들어 "중국 공산당은 이번 사태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고 있으며, 매우 만족스러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이미 박근혜와 윤석열, 두 명의 친미 성향 한국 대통령을 제거한 바 있으며, 이는 베이징의 침투와 영향력이 얼마나 깊은지를 보여준다"고 그녀는 덧붙였다.
그녀는 "한국은 일본과 더불어 미국의 가장 강력한 동맹이 되어야 한다"며, "하지만 베이징은 이 중요한 전략적 지역을 차지하려 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를 잃을 여유가 없다"고 경고했다.
또한 그녀는 윤 전 대통령의 탄핵이 루마니아의 대통령 후보 칼린 게오르게스쿠와 프랑스의 마린 르펜처럼 우파 인사들이 선거 출마를 금지당하는 "전 세계적인 패턴"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사법부가 또 한 번 정치적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은 중국이 대만 인근 해역에서 대규모 군사 훈련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벌어지고 있다. 이번 주 월요일부터 화요일 아침 사이, 대만 주변 해역에서는 중국 해군의 함정 19척이 포착되었다. 마자르-바르두치는 중국이 이러한 훈련을 "새로운 일상"으로 만들려는 동시에 "이 훈련이 언제든 실제 전쟁으로 전환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두 달 후 새 대통령 선거를 실시할 예정이며, 폭스뉴스 디지털은 여론조사 결과 진보 성향의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대표가 유력한 대권 주자로 떠오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