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불확실성에 기업들 신중한 태도...연준은 금리 동결 기조 유지할 듯

미국의 5월 고용 시장은 13만 9천 개의 일자리를 추가하며 예상치를 상회했지만, 채용 증가세는 전월보다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 실업률은 4.2%로 전월과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며, 이는 기업들이 관세 정책과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 속에서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미 노동부는 6일 발표에서 5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13만 9천 개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WSJ이 집계한 경제학자 예상치인 12만 5천 개를 웃도는 수치다. 다만 4월 수치는 기존 14만 7천 개에서 하향 조정됐고, 3월과 4월 고용 합산 수치도 총 9만 5천 개가 줄어든 것으로 수정됐다.

고용

연방정부 부문은 2만 2천 개의 일자리가 줄며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 인력 감축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해왔으나, 해당 인원 중 상당수가 유급휴가 중이거나 퇴직수당 수령 기간 중인 것으로 나타나 실업 통계에는 즉각 반영되지 않았다. 또 일부 해고는 소송 및 법원 명령에 따라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도이치뱅크의 수석 미국 이코노미스트 브렛 라이언은 "지금은 고용이 활발하지도, 해고가 급증하지도 않는 '저고용-저해고' 국면"이라며 "노동 시장이 매우 강하다고 보긴 어렵지만, 심각한 경기 침체의 전조도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연방준비제도(Fed)는 이번 고용보고서를 근거로 기존의 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연준은 향후 몇 달 동안 무역 정책의 변화가 기업의 가격 정책과 고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할 예정이다. 대부분의 연준 위원들은 6월 중순 예정된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되며, 7월 금리 인하 가능성도 낮게 보고 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경기 불확실성 높여

최근 몇 달간 트럼프 행정부는 연방정부 지출 축소 및 인력 감축과 함께 고율 관세를 잇달아 발표했다가 철회하는 등, 예측 불가능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기업의 투자 및 경영 계획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5월 한 달 동안도 관세 관련 변화가 잦았다. 미국과 중국은 90일 간의 관세 유예에 합의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유럽연합(EU)에 대한 대규모 관세를 예고했다가 협상 시간 확보를 이유로 철회하기도 했다. 연방 무역 법원은 최근 트럼프의 주요 관세 조치 대부분을 무효화했으나, 항소 법원이 이를 일시 복원하면서 혼란이 가중됐다.

이달 들어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50%로 인상했다. HP와 메이시스(Macy's) 등 주요 기업들은 관세 비용 증가와 소비 둔화를 이유로 실적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소비심리 또한 약세를 보이고 있다. 미시간대가 집계하는 소비자 심리지수는 5월에 하락세를 멈췄지만, 여전히 1952년 이후 최저 수준 중 하나다. 4월 개인소비 지출은 0.2% 증가에 그쳤으며 이는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다.

도이치뱅크의 피터 시도로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기업들이 올해 초 강한 현금 보유고를 기반으로 일부 관세 불확실성을 버티고 있다"며 "아직 대규모 해고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관세의 부정적 영향은 하반기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