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노동자 보호 위한 공정한 조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대대적인 관세 정책인 '해방의 날' 관세(Liberation Day Tariffs)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이고 자국 내 제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주요 국가 대상 '상대적 관세'로 상대국의 50% 부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가 "완전한 보복 관세(full reciprocal tariffs)"가 아니라, 미국이 각국으로부터 부과받는 관세의 절반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발표된 관세율에 따르면 중국산 제품에는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한국 25%, 태국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등의 관세가 부과된다.
그는 "이들 국가가 미국 내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면 관세를 0%로 낮출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는 해외 기업의 미국 내 투자 유치를 촉진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무역 불균형과 '국가 안보 리스크' 지적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 초반부터 특정 국가들을 지목하며 미국과의 무역적자를 지적했다. 그는 "미국은 수십 년 동안 외국 지도자들에게 착취당해 왔다"며 "이제는 우리의 번영을 되찾을 때"라고 선언했다.
특히, 그는 호주의 미국산 소고기 관세, 중국·일본·한국의 미국산 쌀에 대한 높은 관세, 캐나다·멕시코와의 무역적자 문제를 강조하며, 과거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비판했다.
또한, 미국이 외국산 차량에 2.5%의 관세만 부과하는 상황을 거론하며 이를 "국가 안보 리스크"라고 규정했다. 이에 따라 오는 자정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시장 반응과 인플레이션 우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물가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글로벌 외환·금리 전략가인 티에리 위즈만(Thierry Wizman)은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고 있지만, 실제로는 지난 두 달간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상승했다"며 "그 원인은 바로 이번 관세 조치"라고 분석했다.
다만, 월스트리트 전문가들은 시장의 반응이 예상보다는 긍정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위즈만은 "최악의 시나리오는 아니었다. 만약 전 세계에 20% 일괄 관세가 부과됐다면 시장 충격이 더 컸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노동자와 산업 보호 목적 강조
이번 발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석유·가스 산업 근로자, 트럭 운전사 등과 함께 무대에 올라 새로운 관세 정책이 미국 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공장과 일자리가 다시 미국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소비자 물가는 낮아질 것"이라고 약속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해방의 날' 관세가 미국 경제에 미칠 장기적인 영향은 앞으로의 무역 협상과 글로벌 시장 반응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