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세일즈포스 CEO, 유력인사 영입...복귀한 올트먼 체제 강화 예상
비영리 추구 학자 중심에서 탈피..."MS도 1석 이상 참여 협의 중"
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로의 전환을 일으킨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닷새간의 혼돈 끝에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의 복귀로 다시 안정을 찾는 모습이다.
올트먼 CEO를 전격 해임해 이번 사태를 일으켰던 오픈AI 이사회 주요 멤버들은 회사를 떠났고, 새 이사들이 영입돼 이사회의 쇄신을 이끌고 있다.
오픈AI는 22일(수) 올트먼 CEO의 복귀를 알리면서 새로운 이사회 초기 멤버가 구성됐다고 발표했다. 기존 이사회에 있었던 인물은 애덤 드앤젤로가 유일하고 브렛 테일러 의장과 래리 서머스가 새로 들어왔다.
미국 언론은 올트먼 CEO 해임을 주도했던 일리야 수츠케버를 비롯해 헬렌 토너, 타샤 맥컬리 등 기존 이사 3명이 이사회를 떠났다고 전했다.
수츠케버는 AI와 신경망 등에 관한 다수의 연구 논문을 저술한 과학자로, 오픈AI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올트먼과 AI 개발 속도에 대한 의견 차이가 특히 컸던 것으로 알려졌는데, 올트먼 해임 후 직원들이 거세게 반발하자 자기 행동을 "깊이 후회한다"는 글을 소셜미디어에 올리기도 했다.
헬렌 토너는 조지타운대 보안·신흥기술센터 연구원으로, 지난달 발표한 논문에서 오픈AI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내용을 개진해 올트먼이 문제를 제기한 일도 있었다고 미 경제매체 CNBC는 전했다. 당시 논문에는 오픈AI가 챗GPT를 출시하면서 AI를 안전하게 개발하려는 회사의 노력을 약화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2018년 오픈AI 이사회에 합류했던 타샤 맥컬리는 유명한 싱크탱크 랜드 연구소의 수석 과학자로, 이번 사태 이후 공개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
새롭게 꾸려진 이사진 가운데 의장을 맡은 브렛 테일러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쇼피파이의 이사회 멤버이기도 하다.
테일러는 올해 1월까지 소프트웨어 대기업 세일즈포스의 CEO를 지냈다. 그는 당초 업무 협업 플랫폼 '큅'을 창립했다가 이 회사가 2016년 세일즈포스에 인수되면서 합류해 2021년 CEO 자리에까지 올랐다. 그는 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옛 트위터(현재 X)를 인수하기 전 트위터의 마지막 이사회 의장을 맡은 이력도 있다.
그는 올해 2월 전직 구글 임원과 함께 AI 벤처를 설립했는데, 이번에 오픈AI 이사회를 이끌게 되면서 자신의 AI 회사 경영을 중단할지 여부는 불분명하다고 CNBC는 전했다.
새 이사 래리 서머스는 과거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재무부 장관을 지냈으며, 하버드대 총장을 역임한 경제계 유력 인사다. 경제학자 출신으로, 글로벌 금융 위기 당시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서머스가 정가에서 쌓은 인맥은 현재 여러 규제 조사에 직면한 오픈AI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미 언론은 전망했다.
서머스는 지난해 말 블룸버그 통신과 인터뷰에서 챗GPT를 "인류를 위한 심오한 것"이라고 지칭하며 "바퀴나 불 이후 가장 중요한 범용 기술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처럼 AI 개발을 지지하는 견해로 올트먼의 경영에 힘을 실어줄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는 소식통을 인용해 오픈AI의 현 이사회가 최종적인 것이 아니며, 최대 9명으로 이사회가 구성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올트먼은 복귀 협상 초기에는 이사회에 들어가지 않기로 했지만, 결국 이사회에 합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오픈AI의 최대 주주로 이번 사태 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마이크로소프트(MS)도 이사회에서 한 자리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MS는 이사회 참여 방안을 놓고 다른 투자자들과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험이 풍부한 기술업계 기업인들 위주로 구성된 새 이사회는 오픈AI가 실질적으로 여느 실리콘밸리 스타트업과 비슷한 형태로 변모하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다만 이 회사의 영리사업 부문이 여전히 비영리 법인에 소속돼 '수익 한도 제한'을 받는 것은 여전히 문제라고 CNBC는 짚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