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많은 군중들 집회신고 없이 하나 둘씩 서부지법앞으로
광화문 집회자 합류로... 예상못한 경찰 저지선 무너져
광화문 집회와 성격달라.. 국민감정 표출하는 시위로
현직 대통령에 대한 헌정 사상 첫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이 18일(현지시간) 진행되며,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법 일대가 극심한 혼란에 휩싸였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자 약 4만여 명(경찰 추산)이 법원 앞 도로를 점거하고 사법부와 공수처를 규탄하는 대규모 집회를 벌이면서 현장은 하루 종일 긴장 상태가 이어졌다.
서부지법원 앞 수 십만명 예고없이 자발적으로 모여, 경찰과 대치
지난 17일 밤부터 법원 앞에 집결한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탄핵 무효", "공수처 해체" 등의 구호를 외치며 사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흔들며 판사와 공수처를 겨냥한 근조 화환과 현수막을 설치해 "법치주의 사망" 등을 주장했다.

18일 오전 경찰은 미신고 집회라며 해산 명령을 내렸으나, 시민들은 팔짱을 끼고 드러누우며 저항했다. 경찰은 강제 해산 조치를 위해 기동대 4300명을 투입했으며, 이 과정에서 물리적 충돌이 발생해 한 시민이 경찰의 구둣발에 얼굴을 다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법원 정문 앞을 차벽으로 봉쇄한 경찰은 오후 2시부터 법원으로 들어오는 윤 대통령의 호송 차량을 위해 인파를 정리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 차량이 도착하자 지지자들은 다시 도로로 몰려들며 혼란은 극에 달했다.

구속영장 심사 4시간 50분, 결론은 밤늦게 예상
윤 대통령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약 4시간 50분간 진행됐다. 차은경 서울서부지법 부장판사는 내란 및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를 심리하며 공수처 검사와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의 주장을 청취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이 국헌 문란을 목적으로 비상계엄과 국회 봉쇄 등의 조치를 강행했다며 구속 필요성을 강조했다. 반면, 대통령 측은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심사를 마친 윤 대통령은 다시 서울구치소로 돌아가 영장 발부 여부를 기다리는 중이다. 영장이 발부되면 대통령은 구치소에 수감되며, 기각될 경우 즉시 관저로 복귀한다.
보수 집회에서 국민저항 시위로 변화... '국민혁명'으로 넘어가나
법원 앞에 모인 윤 대통령 지지자들 사이에서는 단순한 집회를 넘어 더 큰 정치적 움직임을 예고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일부 단체와 지지자들은 이번 사태를 '국민혁명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며 보다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주장했다.
한 지지자는 "이번 영장 청구는 단순히 대통령 한 사람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자유 대한민국을 해체하려는 정치적 음모의 일환"이라며 "이제 국민이 나서야 할 때다. 단순 집회를 넘어 국민혁명을 통해 사법부와 정치권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일부 단체는 "국민의 명령으로 헌정 질서를 수호하겠다"며 전국 단위의 대규모 집회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대통령을 지키는 것이 곧 대한민국을 지키는 길"이라며 지역별 조직화와 장기 투쟁 체계 구축을 제안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움직임이 점점 강경화되고 있는 보수층 내 불만과 결합해 정치적 파급력을 키울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정치평론가 강 모 씨는 "사법부를 겨냥한 강한 반발과 정치적 슬로건의 확대는 단순 집회에서 사회적 운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며 "이러한 움직임이 실제 국민적 공감을 얻을지는 향후 집회 양상과 여론 동향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