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3일(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해방의 날' 관세로 인해 미국인들이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미국에는 큰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밴스 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 '폭스 앤 프렌즈'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세계화 정책을 그대로 따를 수 없다. 지금 우리는 평시임에도 불구하고 2조 달러에 달하는 부채와 재정 적자를 안고 있으며, 제조업이 사라지고 있다"며 "이러한 방식은 미국인들에게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다. 이제는 나라를 다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분명히 큰 변화가 될 것이다. 나도 그 점을 피하지 않겠다. 하지만 우리는 반드시 변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말했다.
밴스 부통령은 또한 미국인들이 당장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바이든 행정부의 실정을 바로잡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최대한 빨리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즉각적인 변화는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규제를 완화하고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는 정책을 추진하면, 결국 사람들은 경제적으로 혜택을 보게 될 것이다. 또한 외국이 더 이상 우리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면, 미국 노동자들의 일자리가 더욱 안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고, 이탈리아산 고급 커피, 일본산 위스키, 아시아산 스포츠웨어 등 일부 주요 교역국 제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가 미국 제품에 대한 해외 관세 및 비관세 장벽에 대한 대응 차원이며, 이를 통해 국내 제조업 일자리를 늘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늘은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날 중 하나다. 이는 우리의 '경제 독립 선언'"이라고 선언했다.
밴스 부통령은 이와 관련해 "이번 관세 정책은 예상되는 감세 정책과 맞물려 '열심히 일하는 미국인들에게 보상을 주는 경제 체제'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40년간 미국 경제 정책은 일자리를 해외로 이전하는 기업들에게 혜택을 주는 반면, 미국 노동자들에게는 세금 부담을 가중시켜왔다. 이제 우리는 이러한 방식을 완전히 뒤집을 것"이라며 "미국 내에서 생산하는 기업과 노동자들에게 세금 감면 혜택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미국 일자리를 해외로 이전하는 것이 더 어렵도록 만들겠다. 이는 미국 경제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밴스 부통령은 감세 정책이 단순히 관세 부담을 상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도 설명했다.
그는 "감세는 관세 부담을 상쇄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두 정책은 함께 작동한다. 해외로 일자리를 빼앗아가는 행위를 처벌하고, 미국 노동자들에게 보상을 주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추진하는 정책의 핵심"이라고 밝혔다.